1~8월 수주 1366만CGT로 2위…1위 중국과 87만CGT 差
향후 대규모 LNG선 프로젝트 발주 예정, 1위 달성 기대감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분석업체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8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 137만CGT 중 한국은 78만CGT(57%)를 수주하며 1위를 차지했다. 37만CGT(27%)를 수주한 중국과는 격차를 2배 이상 벌렸다.
국가별 수주량은 한국 78만CGT(16척, 57%), 중국 37만CGT(23척, 27%), 일본 19만CGT(7척, 14%) 순이었다.
1~8월 전 세계 누계 발주량은 3239만CGT로 전년 동기(1221만CGT)와 비교해 165% 증가했다. 한국은 같은 기간 406% 증가한 1366만CGT(42%)를 수주하며 약진이 두드러졌다. 1453만CGT(45%)로 1위를 달리고 있는 중국과는 격차를 87만CGT(3%p)로 좁혔다.
선종별 발주 실적을 살펴보면 대형 유조선(VLCC) 137%, A-Max급 유조선 36%, 140천m³ 이상 대형 LNG선 104% 등 한국 주력 선종의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1만2000TEU급 이상 대형 컨테이너선의 경우 무려 1400% 이상 폭증해 포스트 코로나 이후 해상물동량의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향후 러시아, 카타르 등에서 대규모 LNG선 프로젝트 발주가 예정돼 있다"며 "대형 컨테이너선 시장 우위 추세를 지켜나가면 조만간 누계 실적도 한국이 1위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한편, 8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지난달보다 2포인트 상승한 145.8포인트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선종별 선가 추이는 초대형 유조선(VLCC) 1억350만달러, S-max 유조선 7050만달러, A-max 유조선 5650만달러, 컨테이너선(1만3000~1만4000TEU) 1억4100만달러로, 모든 선종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LNG선(17만4000m³)은 1억9800만달러로 2억달러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