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시대 성큼성큼…리튬-공기전지 성능 향상

입력
수정2018.07.29. 오후 12:02
기사원문
이재림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숙명여대·UNIST 연구팀 기술 개발…"광합성 반응서 힌트"

자연광합성을 모사한 리튬공기전지용 고효율 촉매기술개발 모식도 [한국연구재단 제공=연합뉴스]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전기자동차 장거리 운행을 위해선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이차전지 개발이 필수적이다.

에너지 밀도는 단위 부피에 저장된 에너지를 뜻한다.

이게 높을수록 효율이 높아져 한 번 충전에 더 먼 곳까지 갈 수 있다.

현재는 리튬-이온 전지가 대세지만, 업계에서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하는 건 리튬-공기전지다.

이론적으로 1㎏당 에너지 밀도가 휘발유에 가깝기 때문이다.

한국연구재단은 류원희 숙명여대·류정기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공동연구팀이 리튬-공기 전지용 촉매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왼쪽 사진은 리튬-공기 전지 전해액이다. 순수전해액·촉매가 분산된 전해액·형광등 노출 후 촉매가 용해된 전해액의 모습이다. 오른쪽 그래프는 촉매가 포함된 전해액의 리튬-공기 전지 성능 평가를 나타낸다. [한국연구재단 제공=연합뉴스]


연구팀은 자연 모사 광합성 기술에서 사용하는 가수분해 촉매 물질을 리튬-공기전지에 도입했다.

리튬-공기전지 내부 전해액에 폴리옥소메탈레이트(POM)라는 촉매를 발라 전기화학적 반응을 촉진하고 용량과 수명을 2배 높였다.

폴리옥소메탈레이트가 형광등 같은 빛에서 촉매 활성을 잃어버린다는 사실도 처음 밝혀냈다.

이 특성을 활용하면 빛으로 촉매 활성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광 스위치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뜻이다.

왼쪽부터 류원희 숙명여대 교수, 류정기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이준서 연구원 [한국연구재단 제공=연합뉴스]


류원희 교수는 "기초화학과 에너지·환경공학이 결합한 융합 연구로서, 자연 광합성을 모사한 인공광합성 기술이 신개념 전지기술로 적용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한 셈"이라며 "리튬-공기전지 기반 전기자동차 상용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신진연구) 지원으로 수행했다.

성과를 담은 논문은 ACS 카탈리시스(ACS Catalysis) 6월 25일 자에 실렸다.

walden@yna.co.kr

▶놓치면 아쉬운 '핫뉴스' ▶퀴즈풀고 상품받고! 뉴스퀴즈쇼 '뉴나'

▶네이버 홈에서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생활, IT,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