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에 문제가..." 지난해 전기차 리콜 건수 '최다' 벤츠

입력
수정2024.08.21. 오전 5:42
기사원문
장동규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전기차 리콜 사례 중 고전압배터리 관련 사안이 제일 많아... 'BMS' 정보도 공개돼야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의 전기차 무상 점검이 시작된 14일 서울의 한 벤츠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직원이 입고된 전기차를 점검하고 있다. 2024.8.14/사진=뉴스1
연이어 발생한 전기차 화재로 완성차업계에서 배터리 관련 정보 공개에 나서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이를 바라보는 시선은 차갑다. 사고가 나서야 뒷수습에 나서는 모습이 신뢰를 추락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배터리 제조사뿐 아니라 안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tment System, BMS) 정보고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난해 전기차 리콜 사례를 분석한 결과에도 BMS 관련 리콜이 제일 많았다.

21일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판매되는 전기차의 리콜 가운데 BMS 리콜이 56% 차지했다. BMS 리콜은 주로 독일 완성차 업체에서 많이 이뤄졌다. 지난해 전기차 기능 장애 우려로 리콜이 진행된 총 25건 중에 배터리 관련 리콜은 14건을 차지했다.

BMS 리콜 건수는 메르세데스 벤츠가 가장 많았고 리콜 차량 대수는 포르쉐(970대, 2021년 6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생산)가 가장 많았다. 벤츠는 지난해 12월에 EQE 350+, 11월에 AMG EQS 53 4MATIC+, 8월 EQS 450 4MATIC, EQS 580 4MATIC, EQS 350, EQS 450+등 총 3건에 대해 리콜을 진행했다. BMW는 지난해 5월 과 1월에 i4 eDrive40, i7 xDrive60, iX3 M Sport 등 총 2건의 리콜이 이뤄졌다. 폭스바겐그룹 2건, 스텔란티스 2건, 테슬라 1건, 포르쉐1건이다.

배터리 두뇌라고 불리는 'BMS'는 배터리의 현재 상태를 측정하고 이상 현상을 감지해 충전·방전 속도 관리, 열 분산, 전압의 고른 유지 등 배터리를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전문가들은 전기차 화재가 배터리 셀 자체 결함보다는 BMS 문제가 더 많다고 본다. 이와 관련된 정보도 공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배터리 화재는 셀 자체 결함보다는 BMS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며 " BMS 정보도 공개하고 화재 예방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근 인천 화재 사고 차량인 벤츠 EQE는 지난해 5월 미국에서 리콜 명령을 받았다. 미국 도로안전교통국 보고서에 따르면 벤츠 EQE 전기차는 BMS 오류 경고가 운전자에게 뜨지 않는 잠재적 문제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내에선 리콜을 하지 않고 버티다 지난 7월 화재 가 발생하기 한 달 전에야 리콜에 나섰다. BMS 문제가 인천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인지 여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벤츠의 뒤늦은 대응에 시민들의 반응은 차갑다.

완성차업계 관계자는 "전기차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최대한 공유하고 적극적인 리콜과 보상이 이뤄져야 불신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