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배터리사와 협력하는 에코프로..."IRA 대응"

입력
기사원문
권준호 기자
TALK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에코프로 정회림 경영전략실장(왼쪽)과 데이빗 클라네키 서바 솔루션즈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 배터리 재활용 업무협약(MOU)을 맺은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에코프로 제공
[파이낸셜뉴스] 에코프로는 미국 배터리 재활용 업체 서바 솔루션즈와 배터리 생산 및 스크랩 관리 등을 포함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양사는 향후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대응 및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확대에 힘을 합치기로 했다.

서바 솔루션즈는 스크랩 및 폐배터리에서 니켈 등 주요 광물을 추출하는 기업으로 일본 종합상사 마루베니로부터 5000만달러(약 667억원) 투자를 유치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은 곳이다.

에코프로는 이번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사업 MOU를 통해 글로벌 공급망 확대에 나설 방침이다.

에코프로 관계자는 "서바 솔루션즈가 가진 미국 현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경쟁력 있는 폐배터리 등의 스크랩을 확보하고 북미 지역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사업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에코프로는 서바 솔루션즈가 북미 지역에서 확보한 스크랩으로 생산한 블랙매스(스크랩 등을 회수해 분쇄한 가루) 등 리사이클 원료를 선제 확보하고 현지에서 재활용 협력을 구축할 계획이다.

정회림 에코프로 경영전략실장은 “서바 솔루션즈의 프리미엄 재활용 관련 노하우를 통해 배터리 재활용부터 양극재 생산까지 아우르는 에코프로의 '클로즈드 루프' 시스템의 북미 진출을 도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IRA는 급등한 인플레이션 완화를 위해 조건을 충족한 북미산 생산품에 대해 세액공제 및 보조금 혜택을 주는 조치다. 조건에는 핵심 광물(일정 비율 이상 북미 혹은 미국 자유무역협정 체결국 내 생산)과 배터리 부품요건(일정 비율 이상 북미 내에서 제조 및 조립된 배터리) 등이 포함됐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