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돈의 폴란드 원전 수주전… 민간 분야선 ‘韓 청신호’

입력
기사원문
박세환 기자
TALK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정부 사업은 경쟁 美업체서 피소
민간 원전, 협력의향서 체결 앞둬
야체크 사신(오른쪽) 폴란드 부총리가 지난 23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폴란드 신규 원전 사업과 관련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그는 “신규 원전 사업자로 미국 기업을 선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윤석열정부의 폴란드 원전 사업 수주전이 혼돈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수주 경쟁 격화로 한국수력원자력 등이 미국 원전 업체로부터 피소를 당했지만, 한쪽에서는 수주 청신호가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26일 원전업계에 따르면 한국수력원자력은 폴란드 정부가 추진하는 원전 6기 규모의 ‘루비아토브-코팔리노 사업’을 따내기 위해 미국의 웨스팅하우스 등과 맞서고 있다. 웨스팅하우스는 최근 한수원과 한국전력에 대해 지식재산권을 문제삼는 소송을 제기하며 기선 제압에 나섰다. 이에 한·미 원전 동맹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우려까지 나왔다.

다만 폴란드 민간 원전 협력 분야에선 희소식이 전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제치포스폴리타 등 폴란드 언론에 따르면 한수원은 오는 31일 서울에서 폴란드전력공사(PGE), 민간 에너지회사 제팍(ZEPAK)과 원전 건설 사업 관련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할 것으로 알려졌다. LOI 체결이 곧 원전 수주를 의미하는 건 아니다. 다만 체결이 이뤄진다면 한수원이 경쟁 업체에 비해 우위를 점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수주가 예상되는 원전은 오는 2024년 말 운영이 중단되는 폴란드 중부 패트누브 화력발전소 부지에 들어설 전망이다. 이 사업은 폴란드 정부의 원전 6기 건설에 비해 규모가 적지만 전초전 성격을 띠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조금 더 지켜봐달라”고 밝혔다. 긍정적인 수주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취지다.

정부는 웨스팅하우스 사태에 대해서도 본격적으로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한수원이 주도권을 갖고 소송을 준비하겠지만, 정부도 한수원을 서포트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TALK

응원의 한마디! 힘이 됩니다!

응원
구독자 0
응원수 0

경제부에서 기재부 산업부 공정위 출입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