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종합병원協 "우린 정상진료"… 차제에 상급병원 쏠림도 끝내야

입력
수정2024.02.25. 오후 7:01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5일 경기도 이천시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에서 응급실 의료진이 환자 상태 등을 모니터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 대학병원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으로 의료 대란이 우려되는 가운데 2차 진료 종합병원들이 의료공백을 메우겠다고 나섰다. 대한종합병원협의회는 23일 성명을 내고 "지역 종합병원 대다수는 전문의 100%로 운영되고 있어 현재의 의료대란과는 무관하게 정상진료가 가능하고, 대학병원 수준의 시설과 장비를 구비하고 있다"며 환자들이 지역 종합병원들을 찾아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현재 의료공백은 전공의들이 이탈한 상급종합병원인 대학병원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 지역 종합병원들이 의료공백을 메우겠다고 나선 건 여간 반갑고 고마운 일이 아니다.

정부도 환자의 상태에 따른 분산진료가 체계화되면 의료공백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상급종합병원은 중증 이상 환자만 찾아줄 것을 당부했다. 중증 이하 환자는 지역의 2차 병원급에서, 경증 환자는 의원급에서 각각 진료토록 유도하는 중이다. 대한종합병원협의회 소속 2차 진료 종합병원들은 준 대학병원급 인프라와 의료진을 확보하고 있다. 지역 종합병원들은 성명에서 "현재 지역 종합병원은 추가 상황에 대비해 수술환자와 중환자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24시간 운영되는 응급실과 지역 환자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투석실이 있어서 대학병원들의 의료 공백을 메워나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들 종합병원들은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의 진료 비중이 대학병원보다 훨씬 높다. 사실 장기간의 중환자 수술 대기와 필수의료 기피의 원인 중 하나도 중증 이하 환자들까지 상급병원에만 쏠리는 현상에서 찾을 수 있다. '내외산소'(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분야를 대학병원에만 의존하지 않고 지역 전문 종합병원이 맡을 수 있었더라면 필수의료 공백도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었을 것이다.

의협 비대위는 정부에 끝까지 저항하겠다는 태세다. 정부도 이번 만큼은 양보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불법 집단행동에 대한 법적 절차 착수도 예고했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5일 브리핑에서 원래 필요했던 의사 충원 규모는 3000명 내외지만, 여러 여건을 고려해 2000명으로 정했다며 물러설 의사가 없음을 밝혔다. 의협이 내세우는 의학교육 부실, 의료비 폭증 등의 주장은 설득력을 결여하고 있다는 게 국민 일반의 시각이다. 정부가 원칙을 지키는 건 당연하나 전공의에 이어 전공의 과정을 마친 전임의와 대학병원 교수들까지 집단행동에 가세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만약에 대비해 상급병원의 백업으로서 지역 종합병원을 적극 지원해 활용하는 방안을 세워야 한다. 차제에 대학병원 쏠림도 끝내야 한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