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6년 만에 총파업…30일 총파업 개시
서울시, 지하철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서울 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사의 막판 협상이 29일 최종 결렬됐다. 이번 협상 결렬로 노조는 오는 30일 총파업을 예정대로 개시할 예정이다.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파업에 나서는 것은 2016년 이후 6년 만이다.
이날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노사는 오후 2시 서울 성동구 서울교통공사 본사에서 5차 본교섭에 나섰다. 이날 사측이 새로운 협상안을 제시하면서 협상 타결 가능성도 제기됐으나, 구조조정안 철회 여부를 놓고 양측이 끝내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민주노총·한국노총 소속 양대 노조로 이뤄진 연합교섭단 측은 "회의를 거쳐 만장일치로 최종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며 "내일 총파업 출정식을 예정대로 진행한다"고 밝혔다.
서울교통공사와 연합교섭단은 지난 9월부터 사측과 임금단체협약 협상을 벌여왔다. 공사는 재정 위기를 이유로 2026년까지 전체 인력의 약 10%에 가까운 1539명의 인력을 감축하는 내용의 대규모 구조조정안을 내놨다. 서울교통공사는 매년 1조원 가량의 적자를 내고 있다. 올해도 1조1000억원대의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노조가 사측의 일방적 구조조정안에 반대하면서 양측은 갈등을 빚어왔다. 노조는 재정악화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법정 무임수송 손실 때문인 만큼 정부와 서울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맞서왔다. 아울러 노동자와 시민 안전 등을 위해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노조는 사측과의 협상이 결렬될 경우 30일 총파업을 강행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지난 1~4일 노조 파업 찬반투표 결과 총 79.7%의 찬성률로 파업안이 가결됐다. 노조는 총파업을 앞두고 지난 24일부터 2인1조 규정 검수, 규정 승무 등 준법투쟁을 벌여왔다.
노조는 30일 오전 10시30분 서울시청 서편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갖고 총파업에 들어간다. 총파업시 서울 지하철 1~8호선 운행률은 평일 대비 53~79% 수준으로 줄어들게 돼 지하철 운행이 지연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지하철 총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한 상태다. 시는 출근 시간에는 지하철을 평상시 수준으로 운행하고, 지하철 혼잡도가 낮은 낮 시간대에는 평시의 72.7% 수준으로 운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