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에 성심당 '밀밭' 조성…"전국 '핫플' 되나요"

입력
기사원문
김소연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교촌동 2만여㎡에 밀 생산·관광단지 조성
관광·경제효과 기대감↑…도시개발 속도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열흘가량 앞둔 3일 오후 대전 서구 괴정동 롯데백화점 대전점 성심당 매장에 합격엿과 떡 등 다양한 수능상품이 출시돼 눈길을 끌고 있다. 김영태 기자


성심당이 대전시와 손잡고 '빵잼도시' 구축에 본격 나서기로 했다. 지역 내 국산 밀 생산·관광단지를 조성해 직접 생산한 밀로 대전만의 빵 브랜드를 개발하고 이를 지역 관광 상품으로 만들어나가겠다는 구상이다.

지역 주민들과 부동산 업계는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는 물론, 생산·관광단지 일대 지역 개발에도 훈풍을 몰고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성심당은 유성구 교촌동 소재 약 2만 3140㎡(약 7000평) 규모의 자사 소유 부지에 밀밭을 조성하고 국산 밀 품종인 '황금알' 파종을 마쳤다.

성심당은 파종한 밀을 수확한 후 내년쯤 이를 활용한 대전 고유의 빵 브랜드 개발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또 밀밭 체험 프로그램을 만들고 밀밭 축제를 개최, 빵을 사기 위한 대전 방문 수요를 체류형 관광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성심당은 지난 1월 대전시, 정부기관, 출연연 등 13개 기관과 '대전 스마트농업 허브 도시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당시 성심당은 보유 기술을 바탕으로 도심지 내 스마트팜을 구축하기로 했으며, 대전시는 스마트농업 육성을 위한 행·재정적인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이처럼 성심당이 농업 기술을 활용한 빵 브랜드 제작·생산, 관광 상품화에 나서면서 외지인 방문객 증가 등 관광·경제효과가 커질 것이란 기대감이 나온다.

특히 밀밭이 조성되는 교촌동 인근 주민들은 성심당이 관광단지 모양새를 갖추기 위해 성심당 분점을 내거나 대형 카페, 숙박시설 등을 조성하는 것 아니냐는 기대에 부푼 반응도 보이고 있다.

유성구 교촌동 주민 한 모(45) 씨는 "성심당 빵의 인기는 전국 단위이지 않나. 성심당이 새로운 빵만 출시했다고 하면 전국에서 몰려든 인파로 줄이 끊이질 않는데 체험 프로그램·축제까지 만들어진다면 그 인기가 얼마나 대단하겠나"라며 "전북 고창에 있는 '상하목장'처럼 체험 프로그램, 숙박시설 등을 만들지 않을까 예상된다. 여기에 성심당 분점과 같은 빵 판매점이나 대형 카페까지 생기면 대전은 명실상부 '빵의 도시'가 될 것이다. 관광객 수요도 엄청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부동산 업계도 들썩이고 있다. 성심당 밀 생산·관광단지 조성이 교촌동뿐만 아니라 원내동, 대정동, 용계동, 학하동 등 인근 지역 개발에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지역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성심당의 밀 생산·관광단지 영향력이 교촌동 인근 대정동, 원내동을 비롯해 도안신도시까지 퍼질 것"이라며 "서남부지역은 부지는 상당하나 개발을 위한 관광자원이 없어서 늘 문제였는데, (성심당 밀밭 관광단지 조성으로) 이제 개발 가능성이 높아졌다. 도시개발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성심당이 대전 유성구 교촌동 일대에 조성 중인 밀밭 모습. 대전시 제공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 현장르포' 뉴스人
  • 줌인(Zoom in)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