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리뷰] 하늘아래 두개의 인류 ‘낮과 밤’ 삶을 그리다

입력
수정2023.02.21. 오전 9:20
기사원문
송상호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다시 돌아온 연극 ‘태양’
황폐해진 지구, 둘로 나눠진 인류... 갈망·증오 속 우리의 이야기 담아


연극 '태양'에서 배우들이 열연을 펼치고 있다. (재)국립정동극장 제공

경기아트센터·경기도극단과 국립정동극장이 공동으로 기획·제작한 연극 ‘태양’이 서울 국립정동극장에서 지난 3일부터 관객을 맞이하고 있다. ‘태양’은 2021년 경기아트센터와 두산아트센터가 협력했던 초연 무대에서 관객들을 사로잡은 적이 있다. 이번 재연 무대는 초연에 비해 어떤 부분에서 달라졌고, 어떤 방식으로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지 가늠해볼 수 있는 기회다.

‘태양’은 21세기 초 바이러스로 초토화된 사회에서, 인류가 두 부류로 갈라진 상황을 그려냈다. 항체를 가진 우월한 존재들은 자외선에 약해 해가 진 뒤에만 활동하는 밤의 인간 ‘녹스’가 됐고, 그렇지 못한 이들은 햇빛 아래 살아갈 수는 있지만 도태된 낮의 인간인 ‘큐리오’로 불리게 된다.

흥미로운 설정을 도입해 희곡을 집필한 마에카와 도모히로 작가는 이 작품을 두고 “SF면서 우화이기도 하고, 지극히 일상처럼 느껴지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바꿔 말하면, 이를 무대 위에 표현하는 데 있어 리얼리티의 라인을 어떻게 설정할지 매우 어려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의 말처럼, ‘태양’은 등장인물들과 배경에 대한 묘사를 구현하는 방식에 관한 고민이 필요한 연극이다.

연극 '태양'에서 배우들이 열연을 펼치고 있다. (재)국립정동극장 제공
‘태양’에서 김정 경기도극단 상임연출이 재현해낸 무대는 익숙함과 낯섦이 공존하는 곳이다. 무대는 관객들의 현실을 마냥 풍자하는 곳도 아니고, 현실을 굴곡 없이 재현해낸 거울도 아니다. 그렇기에 이 연극에선 배우들의 역할과 움직임, 그들의 에너지에서 피어나는 요소들이 너무나도 중요하다. 녹스와 큐리오 진영에 속한 각각의 배역 한 명 한 명이 모두 특정 인간상을 표상하기 때문이다. 10명이 안 되는 출연진으로 갈라진 인류, 갈등으로 신음하는 인류의 모습을 그려내야 하는 과제를 떠안았지만, ‘태양’은 그 점에 있어 기대치를 충족시킨다.

연극은 내내 서사의 굴곡을 전달하는 데 집중하지 않는다. 무대 위를 오가는 사람들이 어떤 존재인지 관객의 마음에 새겨넣고자 한다. 누군가는 녹스로 살아가길 포기하고 태양을 눈에 담으려고 한다. 누군가는 녹스가 되기 위한 묘수를 찾아내고자 한다. 또 누군가는 날 때부터 이성과 논리로 무장한 녹스였기에 빈틈이 보이고 불완전해 보여도 감수성과 낭만으로 가득한 큐리오의 삶을 꿈꾼다. 이처럼 다양한 부류의 인간이 제작기 다른 생각과 신념을 무대 위에서 펼쳐 놓는 과정에 집중하기 때문에, 관객들은 자연스레 이야기에 집중하는 대신, 배우들의 언행 자체에 몰입할 수 있다.

연극 '태양'에서 배우들이 열연을 펼치고 있다. (재)국립정동극장 제공
김정 연출은 배우들이 토해내는 감정과 대화를 관객들이 온몸으로 느끼게 하기 위해선, 극장을 찾은 이들을 압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찾아야 했다고 말하면서 작업에 대한 소회를 밝혔다. 그는 “경기도 극단 소속인 임미정, 윤재웅, 이애린, 최예림 배우들을 향한 관객들의 반응이 뜨거웠다. 산전수전 다 겪은 베테랑 배우부터 극단에 새로 들어온 배우들까지 외부의 훌륭한 인력과 부딪히고 뒤섞이는 과정을 지켜보는 일이 뜻깊었다”며 “협업은 언제나 새롭다. 각자 지닌 잠재력과 장점이 극대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꼭 필요한 과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극을 관통하는 주제, 결말 부분의 묘사에 있어 2년 전 초연 때와 다르게 접근했다. 당시엔 두 부류의 화합 가능성을 논했지만, 이번엔 그러지 않았다. 그는 특히 2021년의 ‘태양’을 다시 무대에 확장해 올린 데 대해 “코로나19의 혼란 속에서 시작됐던 ‘태양’은 우리 사회에서 발견되는 틈을 온기로 채워넣으려는 작업이었다”면서 “하지만 2년 뒤, 예측 가능한 공포는 사회를 양분했고 인간의 부정적인 측면을 폭로하는 매개체가 됐다. 그래서 분열과 갈라짐으로 신음하는 인류의 모습을 그대로 조망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연극은 26일까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