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강력' 태풍 힌남노, 9월1일부터 국내 영향…5일 제주 먼바다 도달

입력
수정2022.09.01. 오후 4:34
기사원문
황덕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5일 제주 370㎞ 지점 도착…강도는 '매우 강' 격하 전망
기상청, 내륙 상륙엔 여전히 신중…빠르면 2일께 예보할 듯
31일 오후 4시 천리안 2A 기상위성에서 관측한 동아시아 RGB 주야간 합성 영상(기상청 제공) ⓒ 뉴스1 황덕현 기자


(서울=뉴스1) 황덕현 기자 = 최고 강도인 '초강력'으로 성장한 제11호 태풍 '힌남노'(Hinnamnor)가 북상을 위한 준비를 계속하고 있다. 이 태풍은 9월 2일 오전 중 서진을 멈추고 북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9월5일 오후엔 제주 서귀포 먼바다에 닿겠다. 간접 영향은 9월1일부터 시작되겠다.

31일 기상청에 따르면 오후 3시 기준 힌남노는 일본 오키나와 남동쪽 약 170㎞ 부근 해상에서 시속 21㎞로 서남서진 중이다. 중심기압은 915h㎩, 최대풍속은 초속 55m(시속 198㎞)다. 강풍 반경은 300㎞다. 태풍 강도는 여전히 최고등급인 '초강력'이다. 파급력은 건물이 붕괴할 수 있는 수준이다.

최대풍속이 1일 오전 3시쯤에는 시속 200㎞도 뛰어넘을 전망이다. 기상청은 이 태풍이 최대풍속 202㎞/h(초속 55㎧)까지 강해진 뒤 한동안 이 강도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힌남도의 강도는 기상 관측사상 최악의 태풍으로 꼽히는 1959년 '사라'보다 강한 상태다. 849명이 목숨을 잃고 약 37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사라의 중심부 기압은 952h㎩이었다. 통상 해수면 근처의 대기압은 1013h㎩로, 태풍의 중심부 기압이 이 기압과 차이가 커질 수록 공기 흐름이 빨라지며 강도가 강한 걸로 알려져있다.

중요한 것은 이 태풍의 중심 최대풍속이 북상하면서도 좀처럼 약화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중심기압은 바람의 빠르기에 영향을 미치기에 태풍 예보에서 중요 역할을 한다.

이 태풍은 9월5일 오후 3시 제주 서귀포 남남서쪽 약 370㎞ 부근까지 진출할 전망이다. 이때 중심기압은 930h㎩, 최대 풍속은 초속 50m(시속 180㎞)로 예보됐다. 이때는 태풍 강도가 한등급 하향 조정돼 '매우 강'이 되겠다. 이때도 '사람이나 커다란 돌이 날아갈 정도'로 바람은 강하겠다.

이때 중심기압은 2003년 태풍 매미의 954h㎩보다 낮다.

힌남도의 국내 상륙 가능성에 대해 기상청은 여전히 신중론을 펼치고 있다. 현재 태풍의 북상 속도대로라면 기상청은 9월2~4일께 태풍 상륙 여부와 지점을 예보할 가능성이 높다.

31일 오후 3시 기준 태풍 힌남노 예상 이동 경로(기상청 제공) ⓒ News1 황덕현 기자

기자 프로필

구독자 0
응원수 0

기후환경전문기자. 대기과학 전공 뒤 기후변화에너지융합기술 박사를 수료했다. 2013년 기자로 일하기 시작해 사회부·산업부 등을 거쳤다. 기자협회에 이슈인사이드 환경을 연재 중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생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