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 나오게하는 신종마약’ ‘공포 감정 없앤후 전쟁출전’… BCI 악용하면 윤리적 문제[M 인터뷰]

입력
기사원문
조율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M 인터뷰

뇌 전체 해킹당할 우려는 적어

대입 등 사회적 격차 확대 우려

기술 활용 ‘범국가적 논의’필요


‘BCI(Brain-Computer Interface·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은 몸을 움직일 수 없는 환자들이 외부와 소통할 수 있는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지만, 이를 오남용하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지난 19일 만난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기술 사용에 대한 범국가적인 논의가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교수는 “많은 사람이 BCI 기술의 부작용으로 뇌 전체를 해킹당할 우려 등을 이야기하지만 이는 뇌 전체를 칩으로 덮어야 하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이 높지 않다”며 “오히려 특정 부분의 칩 이식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윤리적·사회적 문제를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발생할 수 있는 사회문제로 먼저 뇌 전기 자극을 통한 ‘신종 마약’의 출현 가능성을 꼽았다. 그는 “BCI 기술을 활용, 뇌에서 도파민이 분출되는 위치를 파악해 원할 때마다 전기 자극을 줘 도파민이 배출되도록 하는 신종 마약이 충분히 탄생할 수 있다”며 “사회적 규제가 분명히 필요한 부분”이라고 경고했다. BCI 기술이 기존의 인간보다 신체적·정신적으로 향상된 ‘트랜스 휴먼’으로 진화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도 언급했다.

임 교수는 “공포를 느낄 때 나오는 뇌파를 확인하고 군인들의 뇌에 칩을 이식해 공포 감정을 느끼지 않도록 만든 뒤 전쟁에 출전시킬 수도 있다”며 “국제사회는 이와 관련된 규제를 만들겠지만 국제사회의 규제를 따르지 않는 국가들도 있으니 충분히 악용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BCI 기술을 통한 인지 증강 기술이 대중화된다면 뇌 내 칩 이식 유무에 따라 사회적 격차가 재구성될 수도 있다. 임 교수는 “암기력, 수학계산능력 등 인지능력을 향상시킨 이들과 그렇지 않은 이들 사이에 대학입시나 국가고시 합격률이 달라질 수 있다”며 “장기적으로는 ‘브레인칩’의 소유 여부가 사회적 불평등과 차별을 만들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임 교수는 “AI 기술 역시 긍정적인 가치와 부작용이 함께 존재하지만 연구·개발은 계속되고 있다”며 “BCI 기술에 대한 연구와 개발 역시 장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BCI 기술 개발로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경과학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에 대해 논의하는 ‘신경윤리학’이 함께 발전해야 한다”며 “국가적 논의를 통해 국제사회가 BCI 기술 활용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마련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