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세아향의 IT트랜드 이야기

와이파이공유기 임대할까 구매할까? 인터넷가입 유무선공유기 설치 방법 : 초고속인터넷설치현금

세아향님의 프로필 사진

세아향

공식

9만 팔로워

2024.03.10. 07:522,322 읽음

신규인터넷가입 과정에서 '장비임대료' 비용을 아끼기 위해서 또는 특정 브랜드의 와이파이공유기를 사용해 보고 싶어서 와이파이공유기 '임대'와 '구매'를 놓고 고민하고 있다면...

가능하다면 '인터넷 통신사 제공 와이파이공유기 임대'를 추천한다.


매달 납부하고 있는 고정비 지출을 줄이는 것이 진짜(?) 절약하는 방법이라고 알고 있지만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바쁘다는 이유로 고정비에 대한 내용을 자세하게 알지 못한다. 대표적인 고정비라 할 수 있는 인터넷 통신비 역시 대충 월 얼마의 금액을 납부하고 있다는 것만 알고 있을 뿐, 인터넷요금 상세내역까지 알고 있는 분들은 거의 없다.


인터넷요금 통신비 절약은 물론이고, 신용카드 사용 줄이기 등 다양한 '절약 방법'을 실천하기 위해서 추천하는 방법은 이메일 청구서가 아닌 종이 청구서를 신청하는 방법이다.

이메일 청구서가 친환경적이고 보관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그만큼 이메일 청구서는 확인 없이 보관함으로 이동되기도 한다.

가능하다면 종이 청구서를 받아보자. 지금 당장 청구서를 확인하지 않아도 어느 순간 한번쯤 청구서 상세 내역을 살펴보게 된다.



초고속인터넷 장비임대료

인터넷 가입 후 인터넷요금 상세내역을 살펴보다 보면... 장비임대료 항목을 찾을 수 있다. 장비임대료는 추상적이고 중의적인 표현이다. 상세 내역을 확인해도 구분에 따른 비용만 나눠 볼 수 있을 뿐 해당 장비에 대한 정확한 확인은 어렵다.

인터넷요금에서 말하는 장비 임대료란 모뎀, 셋톱박스, 홈IoT 장비에 대한 임대 비용을 의미한다. 저마다 인터넷 가입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하나를 지칭하기는 어렵지만, 인터넷신규가입 과정에서 임대 장비에 대한 내용을 알고 있다면 장비임대료 항목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기 쉽다.


장비임대료 항목

장비임대료 항목에 대한 내용을 조금 더 살펴보자.

아파트가 아닌 다세대 주책, 빌라 등 일부 거주 유형에서는 인터넷 가입 시 모뎀을 필요로 한다. 초고속인터넷 사용을 위해서 모뎀이 필요하고, 가입자 고객의 댁내 설치가 필요하다면 모뎀 관련 장비 임대료가 발생한다. 하지만, 모뎀 설치 임대료는 일반적으로 3년 약정 기준 요금면제 처리되는 경우가 많다. 모뎀 임대료가 발생하지만 별도로 납부하지 않을 수 있으니 이 부분은 확인 정도만 하면 된다.

스마트 홈 IoT 장비임대료는 스마트플러그, 홈CCTV 등 다양한 부가 장치 임대에 따른 장비임대료라 할 수 있다. 보통 필요에 의해서 가입하는 경우도 있고, 인터넷요금 할인을 위해서 가입하는 경우도 있다. 홈IoT 월 2천원 상품 가입 시 3~4천원의 결합할인 혜택을 제공한다고 하면 불필요한 IoT 상품을 가입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 홈IoT 가입 기간 및 장비 임대료 납부 기간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장비임대료의 커다란 축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와이파이 공유기다.

이 글의 제목처럼 장비임대료에 대한 항목이 궁금하거나, 와이파이공유기 사용 과정에서 임대와 구매를 고민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앞에서 내린 결론(?)처럼 가능하다면 인터넷통신사의 와이파이공유기 임대 사용을 추천한다. 와이파이공유기 장비임대료는 인터넷요금과 같이 합산되어 매월 결제된다. 인터넷가입 프로모션 혜택을 이용하여 유무선공유기 장비임대료 할인 및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면 최고라 할 수 있다.


백메가 인터넷가입비교사이트를 이용하면 와이파이공유기 의무 임대 조건 확인은 물론이고, 공유기 임대료 포함 인터넷요금 확인이 가능하다.

LG인터넷을 제외한 KT인터넷, SK인터넷은 공유기 의무 임대 대상이 아니므로 원하는 와이파이공유기를 구입해 설치 사용할 수 있다.



와이파이공유기 임대 추천 이유

인터넷가입비교사이트 백메가를 통해서 KT인터넷 가입 시 와이파이공유기 임대 여부에 따른 월 납부 인터넷요금을 확인해보자.


100Mbps, 500Mbps, 1Gbps 등 일반 가정에서 가입하는 인터넷속도에 따른 공유기 임대 여부 요금은 월 1,100원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앞에서 이야기함 장비임대료 면제 혜택을 받고자 한다면 백메가 인터넷가입비교사이트를 이용하여 1Gbps KT 기가인터넷을 가입하면 공유기와 함께 가입해도 월 납부 인터넷요금이 38,500원으로 동일하다.



월 1,100원 기준 36개월 납부하는 장비임대료 총 금액은 39,600원이다. 2024년 3월 다나와 기준, 가성비 좋은 EFM iptime 유무선공유기 가격은 3~5만원대다. 물론, 그 이상 비싼 가격의 와이파이공유기 구매도 가능하지만,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와이파이공유기 성능 스펙과 유사한 가성비 유무선공유기 가격은 장비임대료와 큰 차이가 없다.


만약, 와이파이 유무선공유기 가격이 임대와 구매 동일하다면... 구매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빌려서 사용하는 것보다 내가 직접 선택 구매하고 소유권을 갖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은 당연할 수 있다. 하지만, 인터넷 사용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상황을 예로 들어 생각해보자.

인터넷 속도가 느리다.
인터넷이 자주 끊어진다.
와이파이 유무선공유기가 고장났다.

인터넷 사용에 불편을 느끼거나, 인터넷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장비임대료를 주고 사용 중인 통신사와이파이공유기가 훨씬 더 편리한 해결 방법을 제공한다.


최근 와이파이 속도가 느려서 인터넷통신사 고객센터와 통화했던 사용자 입장에서 다소 황당한 상황을 직접 경험했다.

보다 좋은 성능의 와이파이공유기를 사용하고자
10만원이 넘는 유무선공유기를 설치 사용하고 있는데
인터넷속도가 느려졌을 때, 공유기를 이유로 방문 확인만 가능하다는 점이다.

인터넷통신사 제공 장비(와이파이공유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인터넷설치기사가 직접 내방하여 확인해야만 인터넷속도가 느려진 이유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내 돈 주고 산 와이파이공유기를 사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혜택은 무엇이 있을까?

소호(SOHO) 사무실이나 매장과 같은 특별한 공간이 아닌 이상 일반 아파트에 살고 있는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 유저라면 10만원대 이상의 와이파이공유기 성능을 100% 사용하기는 어렵다. 심지어 유무선공유기 공장초기화 상태에서 추가 설정 없이 사용하는 분들도 많다.

이런 상황이라면 인터넷통신사 장비임대를 추천한다. 장비 임대 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여러가지 상황에 대한 처리가 쉽고 빠를 뿐 아니라, 필요한 설정에 대한 안내 및 지원도 가능하다.



와이파이공유기를 보유하고 있거나
유무선공유기 장비임대료 면제 조건이 궁금하다면...
다양한 상황에서 초고속인터넷가입 설치 과정에 대한 도움을 받고 싶다면...



백메가 인터넷비교사이트를 추천한다. 일반 사용자가 알기 어려운 장비임대료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백메가 문의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었고, 우리집 인터넷에 대한 가입, 설치, 이용에 대한 부분도 친절하게 상담 받을 수 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