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학년도 고2 11월] (26~30) (과학기술) '항공우주 추진기관 개론(연소 불안정)' - 지문 해설편

첨부파일 2
2024.01.02. 오후 2:27

※ 자료는 한글/pdf 파일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30일 이후 단건 판매로 전환됨)

구매자분들께서만 열람이 가능하신 부분의 상단이 글 마지막 부분에 파일을 다운로드하실 수 있는 링크를 걸어두었습니다. 그 링크를 클릭해 주시면 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하십니다:D

※ '라온제의 수능 국어 연구소'에 있는 모든 자료에 대한 무단 배포를 금합니다.

☞ 좋아요♥와 구독은 자료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라온제입니다^^

오늘은 [2023학년도 고2 11월] (26~30) (과학기술) '항공우주 추진기관 개론(연소 불안정)' - 지문 해설편에 대한 글을 작성해보려 합니다.

[과학기술] 항공우주 추진기관 개론(연소 불안정)

로켓(고온 고압의 가스를 발생·분출시켜 그 반동으로 추진하는 장치. 또는 그런 힘을 이용한 비행물)안정적인 비행을 위해 연소 불안정은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문제이다.(참고로, 로켓의 발사 실패 원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연소 불안정’ 현상이라고 하고, 이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일정한 추력을 발생시키기 어렵고, 엔진의 폭발 및 비행체의 추락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고 함) 연소 불안정연소(물질이 산소와 화합할 때에, 많은 빛과 열을 내는 현상)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연소 불안정’의 개념)으로, 로켓에서는 연소실(내연 기관에서 연료가 타는 곳)의 압력 진동이 비정상적으로 증폭(로켓에서 나타나는 ‘연소 불안정’ 현상)되는 연소 불안정이 나타날 수 있다. [액체 추진제 로켓의 연소 과정을 바탕으로 연소 불안정에 대해 알아보자.] ( [ ] : 뒤이어 ‘액체 추진제 로켓의 연소 과정’에 대한 설명이 제시될 것임을 드러냄)

많이 본 콘텐츠

전주 월요일 00시부터 일요일 24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