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 불안 가중시키는 오염수 ‘장외투쟁’ 곤란하다

입력
수정2023.06.30. 오전 12:10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3일 오후 부산 서면 쥬디스태화 앞에서 열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반대 영남권 규탄대회에서 참가자들과 손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스1]
민주당, 주말 장외집회부터 전국 대여 투쟁 총동원
민생 어려움 가중…여야, 공론의 장에서 머리 맞대야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이 7월 전국적 대여 거리투쟁을 선언했다. 당장 이번 주말 서울 남대문 인근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투기 규탄 범국민대회’라는 이름의 대규모 장외집회를 열기로 했다. 이재명 대표가 직접 나서 “남대문으로 모여 달라”고 독려하는 등 당내 총동원령이 내려졌다. 집회엔 이 대표를 비롯해 원내대표와 최고위원 등의 지도부는 물론 전국 17개 시·도당 위원장이 총출동할 태세다.

이미 민주당은 연이은 거리행진과 단식농성으로 공세 수위를 높여왔다. 4선 중진 우원식 의원은 오염수 방류에 반대하며 닷새째 농성 중이다. 의회를 벗어난 투쟁은 이것만이 아니다. 남인순 의원을 비롯한 민주당 의원 13명은 정의당 이은주·장혜영 의원과 지난 28일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서울광장 분향소에서 국회 앞까지 거리행진을 했다.

고물가·고금리로 가뜩이나 힘든 민생 현장은 정치권발 오염수 방류 불안감이 겹치면서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수산물 소비가 급락해 어민과 수산 상인들이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천일염 사재기로 소금값이 급등하고 품귀 현상까지 빚어지기도 한다. 정부 비축 천일염 판매가 시작된 29일 마트마다 소비자들이 몰렸다. 오염수 방류에 따른 위험성 여부나 과학적 논리와는 별개로 국민의 심리적 불안감에서 비롯된 양상이다.

국민 걱정을 어떻게 다독일지 정치권이 머리를 맞대도 부족할 판인데 공론의 장을 박차고 거리로만 나서는 것은 167석 거대 공당의 자세로 보기는 어렵다. 야당이 현안과 쟁점에 자기 목소리를 내는 것은 자연스럽지만, 그것은 민의의 전당인 국회 안에서 이뤄지는 게 바람직하다. 장외투쟁은 진영 갈등만을 키워 문제의 실타래를 더 꼬이게 한다. 당내에서조차 “시급한 현안이 산적한데, 거대 다수당이 건건이 장외로 나가는 건 좋은 방식이 아니다”는 중진들의 쓴소리가 나오는 이유를 지도부는 곰곰이 되새겨야 한다.

정부·여당도 국민 불안을 씻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야당을 “괴담 양산 세력” “반국가 세력”으로만 규정해 대립각을 세우고 대화를 중단하는 건 국정의 권한과 책임을 부여받은 여권의 태도가 아니다. “국민 절대다수의 반대를 괴담으로만 치부해서는 안 된다”(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는 내부 지적에도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후쿠시마 오염수 시찰단 분석 결과도 서둘러 공개하고, 미심쩍은 부분이 있다면 일본에 설명을 요구해 털어내야 한다. 난수표 같은 이론적 설명이나 ‘먹방’ 퍼포먼스보다는 민심이 수용할 만한 설득의 노력이 절실하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