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박 문자·통행 방해 차주, 정부 “화물운송 자격 취소”

입력
수정2022.12.05. 오전 9:00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尹, 화물연대 파업 초강경 대응

운송 거부 땐 통행료 감면 제외
유가보조금 지급도 1년간 제한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대응과 관련한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2. 12. 4.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4일 11일째 이어진 화물연대 총파업에 대해 “자신의 이익을 위해 타인의 자유를 빼앗고 경제 전체를 볼모로 잡고 있다”고 규정, 엄정한 대응 원칙을 재확인했다. 윤 대통령은 “조직적 불법, 폭력 행위에 타협하지 않고 끝까지 책임을 묻겠다”고 했다. 정부는 운송 거부 화물차주를 대상으로 ‘유가보조금 지급 1년 제한’,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대상 1년간 제외’ 등 초강경 제재 방안도 내놨다.

정부는 이날 윤 대통령 주재로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관련 관계장관 대책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대책을 발표했다. 화물연대 파업이 열흘을 넘긴 데다 6일 민주노총의 전국 총파업·총력투쟁대회가 예고되면서 정부의 기류가 한층 강경해졌다. 정유·철강 산업에서 수조원대 피해가 추산된 점도 정부의 강경 기조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정부는 정상적인 운송을 하는 차주에게 협박성 문자메시지나 전화를 하고, 진입로 통행을 방해하는 화물연대 조합원에 대해 관련 법을 개정해 화물운송 종사 자격을 취소하고, 2년 내 재취득을 제한하기로 했다.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화물차주를 대상으로 한 보복 범죄 등을 지속하면 화물차주의 생계에 타격을 가하는 방식의 제재를 가하겠다는 경고인 셈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경찰, 지자체 합동 대응 체계를 구축해 불법 행위를 단속하고 업무개시명령을 이행하지 않는 운수 종사자에게는 강력한 행정처분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운송 복귀 거부자는 물론 업무개시명령 위반을 방조하거나 교사하는 행위자를 전원 사법 처리할 방침이다.

정유나 철강 등 다른 업종에 대한 정부의 업무개시명령도 초읽기에 돌입했다. 정부는 물류 차질 대응책도 내놨다. 자가용 유상운송 허용 대상을 8t 이상 일반용 화물차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유조차 외 곡물·사료 운반차까지 자가용 유상운송 대상에 포함하고 고속도로 통행료를 면제한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