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커진 韓 경제…“2023년이 더 암울” 성장률 줄하향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국내외 기관들 2%안팎까지 후퇴
취업 증가세 둔화로 소비도 ‘위태’


국내외 주요 기관의 내년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일제히 하향 조정되고 있다. 4개월 전만 해도 2%대 중반 수준의 예측이 많았지만 최근 2% 안팎까지 후퇴했다. 비관론이 많아진 건 미국발 고강도 긴축,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격화 등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 입장에서 내년 성장 동력이 훼손될 수 있다는 얘기다. 여기에 고물가·고금리 기조 속에 내년에는 취업자 증가세마저 한풀 꺾일 것으로 보여 소비 여력이 위축될 가능성도 크다는 분석이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기획재정부 제공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장관은 12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등 참석차 방문한 미국 워싱턴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성장률을 두고 “정부가 당초(6월) 2.5%로 전망했을 때는 희망적 정책 의지도 넣은 건데 내년 성장 전망은 그보다 훨씬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가 큰 폭으로 하향 조정될 가능성을 공식화한 것이다. 국회예산정책처(예정처) 역시 최근 ‘2023년 및 중기 경제전망’을 통해 내년 성장률이 2.1%에 그칠 것이라고 예측했고,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전날 “내년 성장률이 기존 전망치(2.1%)를 밑돌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전망이 한층 불투명해진 건 대외 악재 때문이다. 우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3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에도 물가 불안은 가시지 않고 있다. 이날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망치를 상회하며 전년 동월 대비 8.2% 오른 것으로 나타나는 등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여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격화,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조치 등도 글로벌 경기를 위축시키고 있다.
민간소비도 문제다. 예정처는 내년 취업자 증가폭이 8만6000명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상반기 역대 최대 증가폭(94만1000명)을 기록할 정도로 호조세를 보였던 취업자 증가 속도가 내년에 크게 둔화되는 셈이다. 고용 시장이 얼어붙는 가운데 내년 1분기까지 5%대 물가 상승률이 예고된 만큼 가계의 실질 구매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또 가계부채가 1869조원(6월말)에 달하는 상황에서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부담 역시 소비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내년 경기 상황이 부정적인 만큼 정부가 재정의 구조조정을 통해 소득이나 자산이 낮은 취약계층에 지원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