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회담 끝나자마자…日, 독도 영유권 억지·강제동원 지우기

입력
기사원문
강구열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日 초등교과서 검정 승인 파장

‘독도는 日 고유영토’ 표현 강화
징병·강제동원도 강제성 부정
한·일회담 끝나자마자 역사 왜곡


일본 정부가 28일 일제강점기 조선인 징병, 강제동원에 대해 강제성을 희석하거나 부정하는 내용의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 검정을 승인했다. 독도 관련 내용은 일본 영토란 기존 억지 주장을 더욱 강화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16일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한일 확대 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한국 정부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 배상 판결 해법을 마련한 것을 계기로 지난 16일 한·일 정상회담을 열고 본격적인 관계 개선을 모색하던 중에 일본 정부의 왜곡된 역사 인식이 재차 확인돼 파장이 클 것으로 보인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이날 교과서 검정심의회를 열어 초등학교에서 2024년도부터 쓰일 교과서 149종이 심사를 통과했다고 발표했다.

이 중 초등학교 3∼6학년에서 사용할 사회 교과서는 징병 관련 기술에서 ‘지원’을 추가해 강제성을 덜어낸 것으로 확인됐다. 초등 사회 교과서 점유율 1위인 도쿄서적은 “조선인 남성은 일본군의 병사로 징병됐다”는 기존 표현을 “조선인 남성은 일본군에 병사로 참가하게 됐다”로 바꿨다.

독도에 대해서는 지도를 활용해 다케시마(독도)가 ‘일본 고유영토’이며 ‘한국이 불범 점거하고 있어 일본이 항의하고 있다’는 요지의 내용을 강화했다.
일본 문부과학성이 28일 교과서 검정심의회를 열어 2024년도부터 초등학교에서 쓰일 교과서 149종이 심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그중 일부 초등학교 사회와 지도 교과서에서는 한국 땅인 독도에 관한 일본의 영유권 주장이 강화됐다. 사진에서 오른쪽 책은 독도에 대해 현행 "한국에 점거돼"라는 표현을 "한국에 불법으로 점거돼"로 바꾼 도쿄서적 지도 교과서. 왼쪽 책은 독도와 울릉도 사이에 국경선을 그려 독도가 일본 땅처럼 보이게 했다. 연합뉴스
특히 그간에 독도를 ‘일본 영토’라고 표기한 일부 교과서도 모두 ‘일본 고유영토’라고 표현을 강화·통일한 것이 눈에 띈다. 고유영토(固有領土)란 역사상 한 번도 다른 나라의 영토가 된 일이 없는 영토를 뜻한다. 일본 정부는 2017년 초·중학교 학습지도요령 등을 개정하면서 “다케시마가 우리나라(일본) 고유의 영토라는 사실을 다룰 것”을 지시한 바 있다.
 
강제동원 관련 기술에서는 강제성을 드러내는 표현들이 약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도쿄서적은 기존의 “강제적으로 끌려와”라는 표현을 “강제적으로 동원돼”라고 바꿨다. 다른 교과서에서는 “조선과 중국에서 많은 사람을 끌고 와 힘든 노동을 시켰다”는 등의 표현으로 ‘강제’, ‘동원’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기자 프로필

구독자 0
응원수 0

세계일보 국제부 소속의 강구열 기자입니다. 일본과 문화재에 대한 관심이 큽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