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날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 각 거래소에 4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에 전산 오류로 거래지연이나 중단 사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대비하라고 메시지를 보냈다. 지난해 비상계엄 직후 접속자 폭주로 전산장애가 발생한 데 따른 조치다.
이와 함께 오류 등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보고하고, 유사시 담당자와 당국 간 즉시 소통이 가능하도록 소통채널을 구축해달라고 했다.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금감원으로부터 내일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준비해달라는 내용의 메시지를 받았다"며 "좀 더 촘촘하고 면밀하게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시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같은 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잘 대비하자는 취지"라고 했다.
앞서 지난해 12월3일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선포 당시 일부 주요 거래소에서 접속장애가 발생해 1시간 넘게 서비스가 지연됐다. 가상자산을 매도하거나 매수하려는 투자자들이 몰린 탓이다.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비상계엄 당시 업비트(두나무)는 99분, 빗썸은 62분, 코인원은 40분간 서비스 장애가 발생했다.
이에 금감원은 가상자산거래소에 대해 현장점검을 실시하고, 서버증설 등 시스템 성능을 확장할 것을 주문했다. 더불어 비상대응계획을 개선해 시스템 회복능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원화 입출금 급증 등 비상상황에 대비해 은행과 핫라인 구축·협의 절차 등을 개선하라고 권고했다.
이에 가상자산거래소들은 동시접속 능력을 최대 5배까지 늘렸다. 종전 동시접속자 50만명 수용능력을 갖췄던 두나무는 서버를 증설해 90만명으로, 빗썸은 10만명에서 36만명으로 확대했다. 코인원은 10만건 50만건으로 서버용량을 늘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