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쇄신 여론 비등한데 ‘조·송·추’ ‘박·정·천’ 출마설이라니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여야가 나란히 총선기획단을 꾸려 선거 채비에 본격 나섰다. 국민의힘은 6일 이만희 사무총장을 단장으로 하는 12명의 총선기획단 구성을 완료했다. 위원 대부분이 수도권 출신·청년·여성이며, 텃밭인 영남 출신은 이 사무총장이 유일하다. 여당은 이와 별도로 혁신위원회를 가동해 ‘현역의원 물갈이’에도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총선기획단 첫 회의를 열어 민생·미래·혁신을 3대 선거 콘셉트로 정하고, 현역의원 하위 평가자에게 공천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여야가 혁신, 그중에서도 정치세력 교체에 적극 나서겠다고 한 것은 올바른 방향이다. 지금은 “정치도 사람도 싹 다 바꾸라”는 게 유권자들의 명령이다. 여야 모두 파격적인 혁신과 세력 교체로 유권자들에게 화답하기 바란다.

이런 때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을 일컫는 ‘조·송·추’ 출마설이 나돌고 있어 우려스럽다. 조 전 장관은 유튜브에서 총선 출마를 묻는 질문에 “지금 재판 중인데 법률적 소명을 위해 노력하고 이게 안 받아들여지면 문화·사회적 또는 정치적 방식으로 소명하는 게 시민의 권리”라고 답했다. 사실상 출마의 길을 열어 놓은 발언으로 들린다. 그와 더불어 ‘돈봉투’ 사건에 휩싸인 송 전 대표와 장관 시절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과 대립하다 사퇴한 추 전 장관도 출마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이들이 실제 출마한다면 혁신을 바라는 국민 기대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다. 수사·재판 중인 인사가 출마하는 것부터 적절치 않지만, 미래와 혁신을 놓고 경쟁해야 할 내년 총선이 ‘조국 사태’ 및 ‘검찰과의 전쟁’ 2라운드로 치러질 수 있어서다. 그리되면 나라가 또 얼마나 분열되겠는가. 혹여라도 출마 의중이 있다면 속히 거둬들이는 게 본인들 명예나 나라를 위해서도 마땅한 선택이다.

이에 더해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 천정배 전 법무부 장관 등 ‘박·정·천’ 출마설도 나오는데 사실이 아니길 바란다. 이미 4선· 6선 의원을 지냈고, 국가 요직에도 있어본 이들 아닌가. 그 정도 혜택을 받았으면 이젠 신진 정치인에게 길을 열어주는 게 정도다. 심지어 여당 혁신위는 비례대표를 30~40대로 의무화하는 방안까지 검토 중이라는데, 철 지난 야권 인사들이 선거에 나선다면 정치 시계를 거꾸로 돌린다는 비판이 나올 테다. 박병석 전 국회의장이 이날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며 “정치인은 들어갈 때와 나갈 때를 잘 판단해야 한다”고 했는데 새겨듣기 바란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