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남 “학폭 가해자, 동창회 때마다 사과하는 게 과연 맞나”

입력
수정2023.03.17. 오전 11:09
기사원문
김명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기시다 사과 표명 없었다는 지적에 반박

국민의힘 김용남 전 의원은 17일 전날 한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징용 문제에 대해 직접적인 입장 표명을 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과 관련해 “동창회 열릴 때마다 ‘너 반성과 사과 한 번 더 해, 한 번 더 해’ 이게 과연 맞는가”라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기시다 총리는 ‘통렬한 반성과 사죄’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는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계승한다고 특정해서 이야기했다”며 이렇게 말했다.

국민의힘 김용남 전 의원. /조선DB

김 전 의원은 한일 관계를 ‘학폭’에 빗대며 “학교 다닐 때 못된 짓 한 친구들도 있잖나. 그러면 진지하게 자리를 마련해서 ‘내가 잘못했다, 미안하다’라고 사과를 받았다. 그런데 만날 때마다 반성과 사과를 요구를 한다”고 했다.

이어 “물론 당한 사람 입장에서는 1년에 한 번이 됐든 6개월에 한 번이 됐든 사과를 매번 받고 싶어 할 수도 있다”면서도 “일본도 국내 정치 문제가 있는 건데 만날 때마다 반성과 사죄라는 말을 총리 입에서 하기도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김 전 의원은 그러면서 “충분하지는 않겠지만, 매번 정상회담이 이루어질 때마다 반성과 사죄라는 단어가 들어가야만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조금 무리가 아닌가 싶다”고 했다.

함께 패널로 출연한 더불어민주당 정봉주 전 의원은 이 같은 발언을 한 김 전 의원을 향해 “그러니까 자꾸만 ‘토착왜구당’이라는 비판을 받는 것”이라며 “같은 민족으로서 좀 부끄럽지 않습니까?”라고 말했다.

앞서 기시다 총리는 윤석열 대통령과 공동 기자회견에서 “1998년 10월 발표된 한일 공동선언을 포함해 역사 인식에 관한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한다”고 말했다. 1998년 공동선언에 담긴 ‘반성과 사죄’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고 한국의 징용 피해자에 대한 위로 표명은 없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