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황사'에 발끈한 中 언론..."통과역일 뿐, 발원지는 외부"

입력
수정2023.04.15. 오후 2:44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국 언론의 '중국발 황사' 보도에 반발한 중국 언론
베이징일보 "중국은 황사 통과 역일뿐, 몽골 등 중앙아시아가 원인"
중국 베이징 시내에 먼지와 모래 폭풍이 몰아친 가운데 방독면을 착용한 시민/사진=연합뉴스
중국 언론이 "최근 발생한 황사는 중국발"이라는 한국 언론의 보도에 반발했습니다.

지난 13일 베이징일보와 환구시보 등은 ‘황사의 발원지가 중국이라는 한국 언론의 과장된 추측은 얼마나 편협하고 무지한가’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습니다.

매체는 “황사의 경우 기상 현상으로 국경을 넘는 사례가 많다는 것은 상식”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종합적인 분석 결과 "지난 2년 동안 많은 모래와 먼지 날씨가 있었지만, 중국은 사실상 황사 ‘통과 역’에 불과하다"며 "근본적인 원인은 몽골 등 중앙아시아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매체는 "바람이 강하고 지속적이어서 먼지는 자연히 멀리 날아간다"면서 "한국의 언론은 상식을 무시하고 책임을 '떠넘기는' 보도를 하고 있는데, 이는 먼지가 많은 날 만큼이나 끔찍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환경과 기후 문제는 세계적인 문제"이며 "중국은 사막화 방지를 위해 몽골 및 기타 국가와 10년 이상 협력을 강화해 왔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이 '중국발 황사'라는 표현에 불쾌한 심기를 드러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지난 2021년 3월 최악의 황사가 한반도를 덮친 이후에도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환경과 대기 문제는 국경이 없다. 검측 기관에 따르면 이번 황사는 중국 국경 밖에서 시작됐고 중국은 단지 거쳐 가는 곳일 뿐"이라고 반박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당시 미 항공우주국(NASA)과 한국 국립기상과학원은 "몽골에서 시작된 황사 바람이 중국 내 고비 사막과 네이멍구 고원을 거쳐 몸집이 커졌고, 한반도에 들어온 황사는 중국 영토 요인이 더 크다"고 진단했습니다.

어제(14일) 영국 BBC는 "황사는 수백만 명의 북아시아인들이 겪는 계절적 시련"이라며 "중국과 몽골 국경에 있는 고비 사막에서 발원해 봄바람을 타고 한반도에 도달하는 황사가 올해는 바다 건너 일본까지 덮쳤다"고 전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