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싹 속았수다’ 어색한 제주 문화·배경…사투리·식문화·자연 등 제주스럽지 않다

입력
수정2025.03.14. 오전 7:35
기사원문
임성준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유채꽃밭은 전북 고창…바다는 CG 처리

아이유와 박보검이 만나 화제를 모으고 있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도를 배경으로 하지만 배우들의 대사나 식문화, 자연 풍광 등이 제주스럽지 않아 아쉬움을 준다. 4화까지 방영된 드라마 주요 배경도 대부분 제주도가 아닌 다른 지방에서 촬영했다.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어로 ‘수고 많았습니다’란 뜻이다. 기대가 컸던 제주인들은 ‘속아수다’라며 헛웃음이 나오곤 한다.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 출신 ‘요망진 반항아’ 애순이(아이유)와 ‘팔불출 무쇠’ 관식이(박보검)의 모험 가득한 일생을 사계절로 풀어낸 넷플릭스 시리즈다. 제작비만 600억원이 투입됐다.
 
‘폭싹 속았수다’ 세트장
‘폭싹 속았수다’ 세트장
극중 애순과 관식은 제주도에서 나고 자란 설정으로, 유채꽃밭도 제주도로 설정돼 있다. 하지만 첫 입맞춤 장면을 촬영한 장소는 제주도가 아닌 전북 고창 학원농장이다. 뒤로 보이는 바다는 컴퓨터그래픽(CG) 처리했다. 제주도 곳곳이 유채꽃밭인데 메인 장면을 제주도 외에서 촬영한 점은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1960년에 시작한 이야기는 2025년 현재까지 이어진다. 제주도에서 출발한 두 주인공의 여정이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서울로 이어지는 가운데 이에 맞춰 드라마 촬영도 제주도는 물론 고창의 유채꽃밭과 대구의 근대 건물인 계산성당을 비롯해 여수와 순천 등 전국 곳곳에서 이뤄졌다.
 
관식과 애순이 첫 입맞춤하는 유채꽃밭 뒤로 보이는 제주의 바다는 컴퓨터그래픽으로 만들어졌다. 사진제공=넷플릭스 
애순이 관식과 결혼해 두 아이를 낳고 살아가는 외딴 바닷가 마을은 경북 안동에 지은 야외 세트장에서 촬영했다. 바닷가 마을 설정이지만 해안에 정박한 배들과 바다 모습은 컴퓨터그래픽으로 채웠다. 이 때문인지 제주의 어촌 분위기와는 사뭇 다르다. 초가 형태도 어색하다. 제주 근해에서 거의 잡히는 않는 오징어 잡이 배도 나온다.
 
사투리 또한 제주어와 전라도 방언, 서울 말이 뒤섞여 있다.
 
대사 중에 ‘조구’란 생선이 나온다. 조구는 조기(참조기)의 전라도 서남쪽 방언이다.
 
제주어와 제주의 풍경을 오롯이 담아낸 제주 배경 드라마 ‘우리들의 블루스’, ‘웰컴투 삼달리’와는 대조적이다.
 
제주도와 제주콘텐츠진흥원은 13일 보도자료를 내고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를 활용한 글로벌 제주 홍보에 나섰다고 밝혔다.
 
제주도가 로케이션 제작을 지원한 이 작품은 제주목관아, 성산일출봉, 김녕해변, 오라동 메밀꽃밭 등 제주의 명소를 배경으로 촬영했다고 소개했다.
 
제주도와 콘텐츠진흥원은 드라마 제작을 위해 2022년 말부터 약 1년 2개월간 촬영장소 섭외 등의 행정 지원과 함께 제작사 팬엔터테인먼트에 로케이션 인센티브 5000만원을 지원했다.
 
14일 공개하는 2막(5~8부)에선 찬란한 제주의 여름을 어떻게 그려낼 지 궁금하다.

기자 프로필

구독자 0
응원수 0

세계일보 임성준 기자입니다. 답답하시죠? 속 시원하게 해드리겠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