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 “실제로 제가 아랍에미리트 가서 보니까 이스라엘도 이란하고 민간 비행기가 왔다 갔다 하는 등 관계 개선이 많이 돼 있더라. 아랍에미리트도 정부 기관 간에 서로 대화가 많은데 윤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의 적은 이란’이라고 왜 큰소리 쳐버리나”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게 보통 문제가 아닐 것”이라며 “아무튼 우리 상선들도 피랍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전 원장은 “우리 외교부도, 또 우리 대통령실도 ‘잘못했다’고 (사과)하고 대화를 잘 해야 할 것”이라며 “외교에서 대통령의 언어, 대통령의 말씀은 항상 검토되고 정제되고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올해에는 한미 동맹이 모든 안보와 외교의 출발점이기 때문에 미국과 함께 공조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미국이 이란에 경제 제재를 하고 있기 때문에 동참하지 않을 수 없다”며 “그러나 우리가 이란과 교역을 했는데 그 작은 대금 결제를 못 하고 있다. 그걸 풀어가는 게 소위 우회 지원이나, 예를 들면 코로나19 의약품 (제공) 등 여러 가지 검토됐다”라고 했다.
|
이에 대해 이란 외무부는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못하며 한국 정부의 설명을 기다린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의 발언이 UAE를 포함한 페르시아만 연안 국가들과 이란의 역사적, 우호적 관계, 그리고 최근 급속히 진행되는 긍정적인 발전을 모르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주장이다.
논란이 확산하자 정부는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대통령실은 이번 발언이 “현재 한국과 이란 양자 관계와는 무관하고 우리 장병을 격려하기 위한 취지였다”고 해명했다.
외교부도 “이란과의 관계 발전 의지는 변함이 없다”며 서울과 테헤란 외교 채널을 통해 이란 측에 이 같은 입장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우리 대통령께서 이란과의 관계에 대해 언급한 적은 없다. 이란도 우리 발언의 취지를 잘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논란은 국회에서도 이어졌다.
이날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발언을 ‘외교참사’로 규정하며 “대통령의 입이 최대 안보 리스크”라고 몰아붙였고, 국민의힘은 “표현상의 문제”라고 수습하면서 순방 성과를 부각하는 데 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