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전 대통령 전 사위 서모씨의 특혜 채용 의혹을 수사중인 검찰은 문 전 대통령 딸 다혜씨의 서울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면서 영장에 문 전 대통령을 뇌물 수수 피의자로 적시한 상태다. 문 전 대통령이 이상직 전 의원으로부터 2억 2300만원의 뇌물을 수수했다는 혐의다. 서씨는 2018년 이 전 의원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에 취임한 후, 이 전 의원이 설립한 페이퍼 컴퍼니인 태국계 저비용 항공사 타이이스타젯에 전무로 취업했다. 검찰은 이 전 의원이 중진공 이사장 임명 대가로 전 사위에게 취업 특혜를 줬다며, 서씨가 2018년 7월부터 2020년 4월 사이 받은 급여와 태국 이주비 등 2억2300만원을 뇌물로 봤다. 검찰은 또 다혜씨 계좌 추적 과정에서 출처가 불분명한 '뭉칫돈'을 여럿 발견했다. 문 전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는 친구에 부탁, 다혜씨에게 5000만원을 송금했다. 검찰은 돈의 출처를 감추려고 중간에 사람을 끼워 돈거래를 한 것 아닌가 의심하고 있다. 문 전 대통령의 저서 '문재인의 운명'을 펴낸 출판사는 다혜씨에게 2억5000만원을 송금했다. 출판사는 다혜씨가 디자인 편집 등에 참여해 2억원을 줬고 나머지 5000만원은 빌려줬다고 했지만, 편집 전문가도 아닌 다혜씨에게 책 디자인 편집비로 2억원이나 줬다는 것은 상식에 맞지 않다. 출판사가 문 전 대통령에게 줘야 할 돈을 딸에게 대신 준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온다. 다혜씨는 또 2022년 7월 문 전 대통령의 '멘토'인 송기인 신부로부터 제주도 한림읍 별장을 3억8000만원을 주고 매입했다. 다혜씨는 지난 4일 SNS 'X'에 "이쯤 가면 막 하자는 거지요?"라고 썼으며, 민주당은 "국면전환용 정치보복 수사"라고 했다. 다혜씨가 정당하다면 여러 의혹에 대해 해명하면 된다. 하지만 설득력 있는 해명은 내놓지 못한 채 검찰만 비난하고 있는 모습이다.
국회의장이 전직 대통령을 찾는 건 하등 이상한 일이 아니다. 그러나 이번 만남은 누가 봐도 부적절하다. 사법부에 대한 무언의 압력으로 해석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회의장의 정치적 중립 의무를 저버리고 국회의 권위를 스스로 떨어뜨리는 행위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