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현, 서부지법 난입에 "곧 훈방"…폭동 조장했나

입력
기사원문
유동근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곳곳에 조장 세력
19일 밤 서부지법 난입 폭동…앞서 18일 밤 월담 입건에
윤상현 "곧 훈방될 것…애국시민 여러분께 감사"
황교안 무료 변론 제안도…"대통령 지키려다 체포, 안타깝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 앞에서 발언하는 윤상현 의원. 연합뉴스

국민의힘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19일 새벽 있었던 윤석열 대통령 극렬 지지자들의 서울서부지법 난입 사태와 관련, "애국시민 여러분들께 감사하다"고 발언한 것으로 확인됐다. 폭동을 독려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어 논란이 불가피하다.

윤 의원은 18일 밤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법 앞에 모인 지지자들을 향해 "우리 젊은 17명의 젊은이들이 담장을 넘다가 유치장에 있다고 해서 관계자하고 얘기를 했다"며 "아마 곧 훈방이 될 것이다, 이렇게 보고 있다"고 발언했다.

앞서 서울 마포경찰서는 지난 18일 오후 5시30분쯤 서울서부지법 담장을 넘어 청사로 침입한 시위대 17명을 건조물 침입 혐의로 체포한 바 있다. 이들은 윤 대통령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앞두고 서울서부지법 앞에서 집회를 벌이던 윤 대통령 지지자로 추정된다.

야당은 이 같은 윤 의원은 언행이 폭동을 부추겼다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노종면 의원은 19일 페이스북에 올린 '법원 습격과 윤상현'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서부지법 습격의 전조는 어제 저녁 월담이었다. 경찰이 월담자 17명을 체포됐지만, 시위대는 '훈방' 될 것으로 믿고 더 대담해진 듯하다"고 지적했다. 노 의원은 "'훈방' 기대의 근거는 윤상현이었다"고 적시했다.

그러면서 전날 서부지법에 모인 윤 대통령 지지자들 앞에 나타난 윤 의원의 모습이 담긴 영상을 공개했다. 이 영상에서 윤 의원은 '17명의 젊은이의 월담'과 '훈방될 것'이란 발언을 했다.

이에 노 의원은 "이 내용은 다른 경로로도 급속히 시위대 사위에 공유됐고 이후 습격, 폭동의 도화선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면서 "대놓고 '몽둥이가 답'이라 했던 윤상현이 법원이 침탈 위협을 받고 있는데도 침탈자들이 훈방된다고 안심시켰으니 이것이 습격 명령과 무엇이 다를까"라고 비판했다.

실제로 온라인상에는 윤 의원이 지지자들과 주고 받은 문자메시지도 확산하고 있다. 한 지지자는 "윤 의원님 오동운 죽일놈의 좌수처장(공수처장) 차량 막았다고 경찰이 학생들 3명 잡아갔어요. 학생들도 좀 알아봐주실 수 있나요"라고 묻는다.

이에 윤 의원은 "조사후 곧 석방할 거예요"라고 답한다. 이에 지지자가 감사를 표하자 윤 의원은 "제가 감사합니다"라고 답했다. 윤 의원은 또 다른 지지자가 "의원님 오늘 월담한 17인 훈방 조치 됐나요"라고 묻자 "조사 후에 곧 석방될 거예요"라고 답하기도 했다.

캡처 이미지에 찍힌 윤 의원의 휴대폰 번호는 실제 윤 의원 번호와 일치한다.

윤 의원은 해당 발언이 논란이 되자 이날 입장문을 내고 "18일 밤 현장에서 경찰에 연행된 학생 등 청년 17명에 대한 도움에 답을 한 것이지, 그 이후 발생한 기물파손과 침입 사건에 대해 언급한 것이 아니다"라며 "윤 의원은 어떠한 경우에도 폭력사태는 일어나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견지해왔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앞서 윤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 소식이 전해진 이날 오전 3시쯤부터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담을 넘어 영장이 발부된 서울서부지법 내부로 진입해 법원 유리창과 집기 등을 부수는 폭동이 벌어져 사회적 지탄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극우 성향의 여당 인사들은 무료 변론을 제안하는 등 도를 넘어서는 '불법 조장'에 가담하고 있다.

황교안 전 자유한국당(국민의힘의 전신) 대표는 폭동에 연루된 이들에게 무료변론을 하겠다고 밝혔다. 황 전 대표는 "저는 지금 대통령 지키려다가 어제·오늘 체포된 분들을 각 경찰서를 돌며 면회하고 있다"며 "86명이 체포되어 너무 안타깝다. 저는 그분들께 무료 변론을 제공하겠다"고 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