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낙동강 못 지켰으면 공산화됐다…영웅 기리고 호국성지화 속도 내자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6·25전쟁 전세를 일시에 뒤집은 낙동강 방어선 기념 시설 일대를 우리 국민들은 물론, 세계인들이 기리는 자유·평화의 성지로 만든다는 경북도 계획이 나왔다. 칠곡 다부동전적기념관과 주변을 호국성지화한다는 것이다. 다음 달 5일엔 6·25전쟁 영웅 백선엽 장군의 동상 제막식이 기념관에서 열리고, 전쟁 총지휘관 이승만·트루먼 전 한미 대통령 동상도 다음 달 27일 기념관으로 옮겨져 제막된다. 낙동강 방어선이 워커라인으로 명명될 만큼 방어선 사수의 핵심이었던 월턴 워커 초대 미8군사령관 흉상도 만들어진다.

다부동전적기념관이 그 충혼을 기리는 다부동 전투는 1950년 8월, 국군과 유엔군이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한 뒤 북한군의 파상 공세를 막아낸 세계 전쟁사에 길이 남을 기적 같은 승리였다. 낙동강 방어선이 무너져 대구가 점령됐으면 한반도 공산화는 불을 보듯 뻔한 것이었고, 이 방어선 수호를 기점으로 국군과 유엔군은 인천상륙작전을 통해 전쟁 이전 상태로 영토 수복을 할 수 있었다.

1948년 정부 수립이 첫 번째 나라 세우기였다면, 낙동강 방어선은 제2의 건국이었다. 이 방어선을 지켜내지 못했다면 오늘의 자유 대한민국은 존재할 수 없다. 우리 국민 모두가 국가의 정통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백선엽 장군을 비롯해 낙동강 방어선을 지켜낸 6·25전쟁 영웅들을 기려야 한다. 그들을 함께 추모하고 기억함으로써 우리 국민들이 동일한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것도 재확인할 수 있다.

다부동 전투는 최초의 한미 연합작전이기도 해 굳건한 한미동맹을 상징하는 전투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호국성지화 사업은 대한민국 번영을 담보해 온 한미동맹을 더욱 강화하는 역할도 해낼 것으로도 기대된다. 올해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양국의 혈맹관계가 군사동맹을 넘어 가치동맹으로 도약한 가운데 6·25 참전을 결정하고, 한미동맹의 초석까지 닦은 트루먼 전 대통령 동상을 세우는 것은 동맹국 미국 국민들에게 큰 울림을 줄 수밖에 없다. 이 시기에 이승만 전 대통령의 평가가 새로이 정립되어야 함도 물론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