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 "야권 비례 위성정당 '국민후보' 지원"

입력
수정2024.03.02. 오후 9:59
기사원문
계승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센터 설립 15년만에 소장직 사퇴…"새로운 길 나서려 한다"

'채 상병 사건' 관련 기자회견하는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이 20일 오전 서울 마포구 군인권센터에서 '채 상병 사건'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2.20 pdj6635@yna.co.kr


(서울=연합뉴스) 계승현 기자 =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은 2일 소장직에서 물러나 범야권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민주개혁진보연합'(가칭)의 '국민후보' 공모에 지원한다고 밝혔다.

임 소장은 이날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어제 군인권센터에 사직서를 제출했고, 오늘 운영위원회에서 의결돼 사직이 수리됐다"고 말했다.

그는 민주개혁진보연합이 '국민 후보'라는 이름으로 선정하는 4명의 비례대표 후보에 지원할 계획이다. 이에 대한 공모와 심사는 시민사회단체 대표인 '연합정치시민회의' 추천 인사가 중심이 되는 심사위원회가 진행한다.

임 소장은 "자세한 내용은 3일 오후 기자회견을 통해 밝히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날 SNS에 글을 올려 "소장직을 사임한다"면서 "이제 가보지 않았던 새로운 길로 나서려고 한다. 더 넓은 공간에서 시민과 함께 정의를 바로 세우는 길에 도전하겠다"고 했다.

임 소장은 작년 집중호우 실종자 수색 중 순직한 해병대 채모 상병 사건을 거론하면서 "윤석열 대통령이 채 상병 특검법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없을 만큼의 정치적 역량이 필요하다. 폭주하는 권력에 제동을 걸 힘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임 소장은 2009년 군인권센터를 설립하고 군대와 병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권 침해와 차별에 문제를 제기해왔다.

최근에는 채 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잇따라 제기했으며 성폭력 피해를 당한 뒤 목숨을 끊은 고(故) 이예람 중사와 성전환 수술 후 강제 전역된 고 변희수 전 하사 사건 등에 앞장서서 목소리를 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국군기무사령부가 촛불집회에 군 장비와 병력을 투입하려 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key@yna.co.kr

기자 프로필

구독자 0
응원수 0

안녕하세요, 연합뉴스 계승현 기자입니다. 정당팀에서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