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파나소닉, 북미 배터리 3공장 물건너가나

입력
수정2024.01.22. 오후 9:45
기사원문
신정은 기자
TALK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파나소닉 CEO "생산성 향상 먼저"
IRA 지나친 의존도 경계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사진=REUTERS


글로벌 전기차 판매 둔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일본 최대 배터리 업체인 파나소닉이 미국 신공장 설립 계획을 미룰 수 있다고 시사했다.

구스미 유키 파나소닉 최고경영자(CEO)는 2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인터뷰에서 “(배터리) 3공장 설립을 결정하기 전에 생산성을 철저히 높이는 것을 먼저 생각해볼 것을 지시했다”며 “시기가 적절할 때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파나소닉은 이번 회계연도가 끝나는 3월까지 북미 3공장의 위치를 공개할 예정이었다.

구스미 CEO는 이어 “새로운 공장의 인력 요건을 감안하면 생산 가지가 적은 것이 더 낫다”며 “기계 정비 등 공정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높일 여지가 있고 상황 변화에 따른 시차는 어느 사업에서나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파나소닉 배터리 부문이 미국 배터리 투자 물결을 촉발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의존하지 않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제조 기반을 개선하고 싶다”고 말했다. 북미에서 생산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급하는 IRA에 대한 지나친 의존도를 경계한 것이다.

미국 캔자스주에 북미 두번째 배터리 공장을 건설 중인 파나소닉이 3공장 투자를 주저하는 것은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등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이 전기차 생산 계획을 축소하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파나소닉이 새로운 공장 설립 대신 기존 공장의 생산능력 확대로 생산 전략을 다시 세운 것이라고 로이터통신은 평가했다.

기자 프로필

TALK

응원의 한마디! 힘이 됩니다!

응원
구독자 0
응원수 0

자동차·항공·해운 기사를 씁니다. 제보 환영합니다! 연재물 '신정은의 글로벌富'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