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더 독해지나'…中 석탄발전 승인, 7년만에 최대 규모

입력
기사원문
박종화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작년 전력난 우려로 대형 석탄발전소 무더기 승인
일주일에 2곳 꼴…한반도 마주한 장쑤·저장 등도 활발
[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중국이 지난해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무더기로 허가했다. 전력난 우려를 해소하고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서다. 한반도와 인접한 동부 해안 지역에서도 석탄발전소 건설 ‘붐’이 일고 있다.

중국 허베이성의 석탄화력발전소.(사진=AFP)


워싱턴포스트(WP)는 비정부 기구인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CREA)와 글로벌에너지모니터(GEM)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 정부가 지난해 총 106GW 규모 석탄 발전 사업(발전기 기준 168기)을 허가했다고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다. 일반적으로 발전 용량이 2GW 이상이면 대형 석탄발전소로 분류되는데 이런 대형 발전사업을 일주일에 두 곳꼴로 허가를 내준 셈이다.

빠른 인·허가로 지난해 공사에 들어간 석탄 발전 사업 규모도 50GW에 이른다.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 착공 용량을 다 합친 것보다 8배 크다. 플로라 샹파누아 GEM 애널리스트는 “전 세계적으로 석탄 발전을 줄이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은 분명한 예외”라고 꼬집었다.

신규 석탄발전 사업은 산업 중심지인 광둥성과 장쑤성, 안후이성, 저장성 등 동부 해안지역에서 특히 활발했다. 이 가운데 장쑤성과 저장성은 서해를 사이에 두고 한반도와 마주 보고 있다. 중국의 석탄발전소에서 배출하는 미세먼지는 편서풍을 타고 한반도 대기를 악화시킨다.

중국의 이 같은 움직임은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하겠다고 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공약과 모순된다는 지적이다. 시 주석은 2021년 탄소 중립을 위해 “석탄 소비량을 2026년부터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줄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미 경제전문매체 CNBC는 시 주석 공약과 달리 중국 석탄 발전을 늘리고 있는 배경으로 전력난 우려를 꼽았다. 지난해 여름 폭염이 계속되면서 중국 전역에서 전력 소비가 급증하고 정전 사태가 이어졌다. 가뭄까지 겹쳐 수력 발전량도 줄었다. 이에 연료비가 싸고 유연하게 발전량을 조정할 수 있는 석탄 발전소가 ‘대안’이 된 것이다.

일부 지역에선 석탄발전소 건설을 경기부양 수단으로 쓰고 있다고 CREA와 GEM은 전했다. 이들은 보고서에서 “새로 지은 석탄 발전소를 사용해야 한다는 압박이 청정에너지 보급 속도를 늦추는 게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중국 정부를 향해 “늘어난 전력 수요를 감당하면서도 석탄 발전의 급증을 막기 위해 청정 발전에 대한 투자를 가속화하라”고 촉구했다.
지난해 중국에서 제안(회색 점)·승인(붉은 점)된 석탄화력발전소와 폐쇄 발전소(하늘색 점). 점이 클수록 대형 발전소란 의미.(자료= Center for Research on Energy)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