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어 부산물로 화장품 소재 국산화 기술 개발

입력
수정2025.03.16. 오전 11:01
기사원문
김윤구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7억원어치 수출 계약도

해양수산부 현판
해양수산부 현판(해수부 제공) 현판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해양수산부는 17일 수산부산물을 활용한 바이오의약품과 기능성화장품을 상용화해 국내 백화점 50곳과 공급 계약을 맺고 50만달러(약 7억원)의 수출 계약까지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해수부는 생선 머리, 해조류 뿌리 등 수산부산물 고부가가치 상품화를 위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산업화하기 위해 2022년부터 '해양수산부산물 바이오 소재화 기술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오철홍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한국식품연구원(KFRI), 오건에코텍과 함께 연어 부산물(수컷의 생식소와 머리 등)을 활용해 PDRN(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과 프로테오글리칸을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PDRN과 프로테오글리칸은 바이오의약품, 기능성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중요한 소재로 쓰이지만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한다.

연구팀은 국산화 기술의 산업적 생산성을 높이고 공급 단가를 안정화하기 위해 표준생산공정과 신규 소재 개발에도 착수했다.

ykim@yna.co.kr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