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호 통일장관 “종전선언 절대로 추진하지 않을 것 약속”

입력
수정2023.08.03. 오후 7:07
기사원문
김민서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김영호 통일부 장관(왼쪽)이 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가족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뉴스1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3일 “윤석열 정부는 종전선언을 절대로 추진하지 않겠다고 약속한다”고 했다.

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납북자, 억류자, 국군포로 단체 대표·가족과 만난 자리에서 “종전선언이 이뤄지면 전시 납북자, 국군포로 문제는 묻히게 된다”며 “종전선언은 그 여건이 조성되지 않았다”고 했다.

김 장관은 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를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김 장관은 “주무부처 장관으로서 여러분의 고통과 그간 겪은 어려움을 함께하고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제 각오를 말씀드린다”며 “통일부는 앞으로 국제기구, 유관 국가들과 협력해 이 문제를 풀어나갈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난 4월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조 바이든 대통령과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납북자·국군포로·억류자 문제를 한국과 미국이 공동으로 긴밀하게 협력해서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며 “대통령과 정부의 입장은 확고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면담은 김 장관 취임 후 첫 대외 일정이다. 김 장관은 집무실 입구에 먼저 나와 단체 대표와 가족들을 맞이했다. 최성룡 납북자가족모임 대표는 이날 면담장에 들어서며 취재진을 향해 “(여기 온 게) 10년 만이네요”라고 했다. 최 대표는 본지 통화에서 “과거 정부에서 납북자 문제는 늘 소외됐다”며 “2000년 6ㆍ15 남북공동선언 3항에 비전향장기수 문제는 포함되어 있는데 납북자와 국군포로는 언급이 빠졌고 이후 남북 당국간 합의 등에서 납북자라는 표현 대신 ‘전쟁시기와 그 이후 소식을 알 수 없게 된 사람들’이라는 표현이 사용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과거 정부의 이런 잘못에 대해 윤석열 정부라도 사과해야한다고 김영호 장관에게 건의했다”고 했다.

북한 억류자 가족과 대북 인권단체들은 지난 2일 윤 대통령 앞으로 보낸 공개서한을 통해 오는 18일(현지 시간)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리는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국군포로, 납북자, 억류자 문제를 공식 의제로 다뤄달라고 요청한 상태다. 통일부는 김 장관 취임과 더불어 ‘납북자 대책반’을 장관 직속으로 설치하는 조직 개편을 추진 중이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