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국립 5·18민주묘지관리사무소에 따르면 이날 김 최고위원은 오전 11시30분쯤 광주 북구 운정동에 위치한 5·18민주묘지를 방문했다. 그는 30분가량 머물며 참배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최고위원은 박남선 광주 5·18민주화운동 당시 전남도청 시민군 상황실장 등과 함께 묘역을 방문했다. 박 실장은 "김 위원이 '자신이 5·18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며 안내자로서의 동행을 제안해 함께 민주묘역을 찾았다고 밝혔다. 이날 김 최고위원은 방명록에 '광주시민의 아픔과 민주 영령님들의 희생을 늘 기억하겠다'며 '깊이 사과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고 적었다.
지난달 12일 김 최고위원은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의 예배에 참석해 "5·18 광주 민주화운동의 헌법 수록을 반대한다"고 발언했다. 또 "표를 얻으려면 조상 묘도 판다는 게 정치인"이라고 말해 파장을 일으켰다. 이에 당시 정치권을 포함한 광주 전남지역사회는 김 최고위원이 5·18정신을 훼손하고 민주주의 역사를 부정했다"며 거센 비판과 함께 김 최고위원의 사퇴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