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이 15일 대한체육회에서 받은 ‘선수 경력자 진로 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작년까지 은퇴한 운동선수들의 평균 실업률은 37.6%에 달했다.
은퇴 선수 실업률은 관련 조사가 시작된 2012년 35.9%를 기록했다. 2013년 43.2%, 2016년 35.38%, 2022년 39.40%, 지난해 37.01%로 나왔다.
취업 품질도 좋지 않았다. 비정규직이 절반을 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비정규직은 50.16%, 정규직은 44.09%로 조사됐다.
근속 기간은 1년 미만이 38.34%로 가장 많았다. 2년(19.81%)과 1년(17.57%)이 뒤를 이었다.
월 평균 소득은 200만∼299만원이 50.8%로 가장 많았다. 200만원 미만은 27.48%, 300만∼449만원은 14.38%, 450만∼599만원은 4.47% 순이었다.
체육회가 은퇴한 선수들에게 진로 선택 때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38.47%), ‘직업·진로에 대한 정보 부족’(27.51%), ‘경력 및 스펙 부족’(18.61%) 등으로 답변했다.
체육회가 체육인 대상으로 진로 지원 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홍보 부족 등으로 이용률이 21% 가량에 그쳤다.
민 의원은 “취업 사각지대에 놓이기 쉬운 은퇴 선수들을 위해 학생 선수 시절부터 생애주기별 진로 설계 및 경력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며 “스포츠인이 은퇴해도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진정한 스포츠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