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그만뒀더니, 10명 중 4명 무직…8명은 월 300만원도 못 벌어

입력
기사원문
최기성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대한체육회 [사진출처=웹사이트]
은퇴한 운동선수 10명 중 8명 가량이 월 300만원도 못 버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10명 중 4명 가량은 무직 상태인 것으로 나왔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이 15일 대한체육회에서 받은 ‘선수 경력자 진로 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작년까지 은퇴한 운동선수들의 평균 실업률은 37.6%에 달했다.

은퇴 선수 실업률은 관련 조사가 시작된 2012년 35.9%를 기록했다. 2013년 43.2%, 2016년 35.38%, 2022년 39.40%, 지난해 37.01%로 나왔다.

취업 품질도 좋지 않았다. 비정규직이 절반을 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비정규직은 50.16%, 정규직은 44.09%로 조사됐다.

근속 기간은 1년 미만이 38.34%로 가장 많았다. 2년(19.81%)과 1년(17.57%)이 뒤를 이었다.

월 평균 소득은 200만∼299만원이 50.8%로 가장 많았다. 200만원 미만은 27.48%, 300만∼449만원은 14.38%, 450만∼599만원은 4.47% 순이었다.

체육회가 은퇴한 선수들에게 진로 선택 때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38.47%), ‘직업·진로에 대한 정보 부족’(27.51%), ‘경력 및 스펙 부족’(18.61%) 등으로 답변했다.

체육회가 체육인 대상으로 진로 지원 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홍보 부족 등으로 이용률이 21% 가량에 그쳤다.

민 의원은 “취업 사각지대에 놓이기 쉬운 은퇴 선수들을 위해 학생 선수 시절부터 생애주기별 진로 설계 및 경력 관리를 지원하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며 “스포츠인이 은퇴해도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진정한 스포츠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자 프로필

구독자 0
응원수 0

'(연두색) 법인 번호판 변경' 2020년 '국내 최초' 제안, 3년간 기사화. '아빠차' 만듦, 연재(카슐랭, 허브車, 세상만車, 왜몰랐을카, 돈되는 카있슈)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