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도 상속세 대상일까? 상속세 기초 개념과 계산 구조로 보는 절세 전략

2023.11.27. 오전 9:00

읽기 전 확인하세요.

  • '세무사가 전하는 절세기술'은 매주 월요일 1회 발행합니다.

  • 이 콘텐츠는 작성일 현재 법령, 판례, 유권해석을 근거로 작성했습니다.

  • 최종 의사결정은 세무사와 개별상담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번 콘텐츠를 통해 알 수 있는 내용

  • 상속세 기초 개념과 꼭 알아야 하는 용어를 정리해요.

  • 자신이 상속세를 신고대상인지 판단할 수 있어요.

  • 알기 쉽게 정리한 상속세 계산 구조를 확인할 수 있어요.

  • 상속과 증여 중 자신에게 더 유리한 결정을 내릴 수 있어요.

  • 자신에게 유리한 상속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어요.


열 번째 콘텐츠 선정 배경

출처 : 동아일보

안녕하세요, 남궁찬호 세무사입니다.

최근 몇 년 간 상속세 신고 대상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과거엔 고액 자산가들만 냈던 세금이 이제는 서울에 집 한 채만 있어도 내야 하는 일반적인 세금이 되었습니다. 통계를 보면, 상속세 대상은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약 10배 정도 그 인원이 증가했습니다. 이런 변화의 가장 큰 이유는 부동산 가치 상승입니다. 상속세를 내야 할 기준금액은 고정되어 있지만 명목 재산은 계속 증가하기 때문에 상속세를 신고해야 하는 납세자가 늘고 있습니다.

게다가 상속세 부담이 주요국 대비 높다는 여론, 상속세 체계 개편 필요성 제기 여론 등에 따라 최근 상속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고액 자산가가 아니라도 중산층도 상속세를 걱정해야 시대 입니다. 특히 상속세는 다른 세금과 달리 최소 10년 이상의 장기간 계획을 통해 준비해야 제대로 절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콘텐츠는 상속을 전혀 모르는 분들은 물론, 상속세 계산 구조를 통해 스스로 절세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