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억대 연봉 포스코 노조의 ‘복에 겨워 하는 파업’

입력
수정2024.04.22. 오후 1:57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30일 포스코 공급사협의회가 포항제철소 본사 앞에 노조의 쟁의행위를 멈춰 줄 것을 촉구하는 현수막을 게첨해 놓고 있다. 포스코공급사협의회와 노경협의회, 광양제철소 파트장협의회 등은 최근 성명서를 내고 파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뉴스1

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이 지난 9월 7일 오후 포스코 포항제철소 본사 앞에서 사측과 임단협 결렬에 따른 쟁의대책위원회(쟁대위) 출범식을 개최했다. 쟁대위 출범식에 참석한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과 노조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뉴스1

억대 연봉을 받는 포스코 노조가 임금 인상, 격주 주 4일 근무제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결의했다. 실제 파업을 하면 1968년 포스코 창사 이후 처음이다. 포스코 파업이 현실화되면 협력 업체는 물론 많은 산업체가 연쇄적으로 피해를 볼 수 있다.

포스코 노조는 임금·복지 조건 60여 개를 요구하고 있다. 이 요구를 모두 들어줄 경우 1인당 9500만원꼴로 약 1조6000억원 규모의 추가 인건비 지출이 발생한다고 한다. 포스코 직원 평균 연봉은 이미 1억800만원으로 동종 업계 최고다. 협력 업체 직원이 받는 돈의 2배 수준이다. 이런 사람들이 돈과 복지를 더 달라며 파업까지 한다면 누가 납득할 수 있겠나.

지금 포스코는 상황이 좋지만은 않다. 지난해 여름 태풍 힌남노 영향으로 포항제철소 공장이 흙탕물에 잠겨 전체 공정이 중단되며 2조원의 피해를 봤다. 이 때문에 지난해 4분기에는 영업 손실을 기록하기도 했다. 올 하반기엔 국내외 경기 침체, 전기료 인상 등으로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상황이다. 노조가 돈 더 달라며 파업할 처지가 아니다.

포스코는 1~2차 협력 업체만 2만7000곳에 이른다. 만약 파업을 하면 협력사 직원과 가족 수만 명이 피해를 보게 된다. 철강을 소재로 쓰는 자동차·조선·건설·기계·가전 등 수많은 산업이 연쇄적으로 생산에 차질을 빚을 것이다. 포스코가 창사 이래 파업이 없었던 것은 이런 이유가 있다. 포스코가 지금처럼 성장할 수 있었던 바탕에도 안정적인 노사 관계가 있었다. 포스코 연봉이 억대를 넘은 것도 안정적 노사 관계 덕인데 돈 더 안주면 노사 관계를 깨겠다고 한다.

광양·포항 지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도 포스코 노조의 자제를 호소하고 있다. 불황으로 적은 돈에도 지갑을 선뜻 열지 못하는 서민에겐 안정적으로 많은 연봉을 받는 포스코 직원의 임금 투쟁이 딴 세상 일로 비칠 것이다. 포스코 노조가 한번 주위를 둘러보면 이렇게 복에 겨운 투정을 부리지는 못할 것이다. 무엇이든 지나치면 모자라느니만 못하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