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사이트] 투자자가 반드시 피해야 할 심리 오류

2023.04.16. 오전 12:00
by J

투자 인사이트

SignalLab Research

투자자와 사업자 모두의 관점에서 금융시장과 비즈니스 세계의 속내를 파해쳐 투자 인사이트 제공하는 '투자 인사이트' 컬럼입니다.


행동경제와 심리경제학

Behavioral Finance/Economics

구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 가볍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혹시 '행동경제학' 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투자시장에서 인간의 오류를 날카롭게 꼬집는 행동재무학의 대가, 사상가 - 나심 탈레브

인간 본연의 심리행태가 금융투자 시장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나타나는지 연구하는 심리학 + 경제학의 융합 학문인데요. 현대 경제/투자 이론의 한 축으로, 경제주체의 의사결정이 반드시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많은 연구 성과를 보여줘 왔고 최근까지도 발전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노벨상 수상자 데니얼 캐너만이나 니콜라스 나심탈레브와 같은 대석학이 이 분야의 권위자로 알려져 있죠.

종강 파티와 싸인도 해주는 멋쟁이 학자 - 나심 탈레브

사실, 데이터에 대해 많이 말하고 있는 저희 팀이지만, 금융 시장에서 투자자들의 비이성적 행태에 대해 매우 궁금했던 필자는 위 데니얼 케너만과 당시 블랙스완 이론과 관련 서적 출판으로 일약 스타 학자 반열에 오른 나심 탈레브의 수업을 직접 들었던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정작 생각과 달리 배울 수 있었던 주요 내용은,

수학?, 코딩? 뭐야 이거..?

어쩔 수 없는 의사결정 압박에 놓인 인간이 보상 위험 사이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수학적 수식으로 정립한 머리 아픈 내용들이 대부분이었고, 이렇게까지 앞서 고민했던 현인들이 있었구나라는 사실에 감탄사가 나오기는 했으나, 기대했던 것과 다르고, 생각보다 매우 어렵고 재미가 없었다는 사실이었죠.

이익과 손실, 만족, 효용 앞에서 고민하는 사람의 행동 특성을 논하는 내용이 많습니다. 관련 이론으로는 전망 이론이 유명하고, 보통 (Cumulative) Prospect Theory 라고 하는데요.

전망이론으로 비교해 본 성장주 vs 가치주

확정된 작은 이익과 확률은 훨씬 작지만 보상이 훨씬 큰 경우 선택의 기로에 놓인 상황이라든지,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는 생각보다 사람들이 합리적 사고를 하지 못한다는 주장이죠. 특정 이벤트에 대한 CPT 점수를 구해서 비교해 볼 수도 있고, 위와 같이 가치주와 성장주에 대한 투자자들의 CPT 점수를 구하는 프로그래밍 코드를 만들어서 투자 전략으로 적용해 봤던 기억도 납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행동경제학에 대한 소개로 서론이 길어졌는데요, 이론이 중심인 이야기는 나중에 하도록 하고, 오늘은 일반 투자자 관점에서, 정말 정말 실전에서 조심해야 할 투자행위 관련된 심리적 오류를 소개하고 구독자분들과 함께 우리가 잘 못하고 있는 것은 없는지? 점검해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당신은 어떤 가격의 제품을 구매하시겠습니까?

✍️ 요약: 행동재무학?

• 경제 + 금융공학 + 심리학의 융합학문.

• 일반적 경제이론은 인간의 합리성에 대한 전제와 믿음에서 출발.

• 행동경제학은 선택과 판단에 개입되는 왜곡된 인간의 심리적 오류를 연구.

투자와 관련된 심리적 오류들

자신을 꼭 되돌아 봅시다

Heuristic (휴리스틱)

알고리즘의 반대 개념. 확률과 통계학적 추론 배제. 불확실성 하에서 의사 결정 시, 경험, 직관, 즉흥적 추출, Rules of Thumbs(주먹구구식),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판단을 하기 때문에 의사 결정 빠르나, 그 판단이 항상 옳은지 장담할 수 없고 편향(bias) 동반.

주먹구구식의 반대는 알고리즘!

Availability Heuristic (가용성 휴리스틱)

자신의 경험을 했거나 들을 정보를 토대로 판단. 자신이 들은 것의 빈도에 따라 잘못된 판단. 예를 들어 미국에서 자살자 수와 타살자수 중 어느 것이 더 많은가라는 질문이 있을 때, 대부분 타살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자살이 타살보다 더 많다. 이는 매스컴을 통해 자살보다는 타살에 대한 보도가 자주 나오기 때문에, 타살이 더 많다고 느낌.

물속에서 상어로 인해 죽게 될거야!! - 사실은 비만으로 죽을 확률이 훨씬 높음!

Fluency Heuristic (유창함 휴리스틱)

구관이 명관 - 자주 경험한 것에 호감을 갖는 경향. 투자 리서치를 할 때에는 항상 새로운 전략과 정보에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많이 본 콘텐츠

전주 월요일 00시부터 일요일 24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