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 2년 반 만에 '마이너스'…연간으로는 2.6% 증가

입력
수정2023.01.26. 오전 10:00
기사원문
유혜은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의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GDP)이 0.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GDP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건 2년 6개월 만에 처음입니다.

오늘(26일) 한국은행은 '2022년 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내용에 따르면 우리나라 GDP는 전 분기와 비교하면 0.4% 줄었고, 전년 같은 기간보다는 1.4% 늘었습니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전년 대비 2.6% 늘었습니다.

지난해 4분기 국내총생산을 자세히 살펴보면 정부소비와 건설·설비 투자 등은 늘었으나 수출과 민간소비 등은 줄었습니다.

정부소비는 물건비와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을 중심으로 3.2%, 건설투자는 비주거용 건물 건설 등을 중심으로 0.7%, 설비투자는 기계류를 중심으로 2.3% 늘었습니다.

반면 민간소비는 재화(가전제품·의류·신발 등)와 서비스(숙박·음식·오락문화 등) 소비가 줄어 0.4% 감소했고, 수출은 반도체와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5.8% 줄었습니다.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을 살펴보면 서비스업 등은 늘었고, 제조업의 감소 폭은 확대됐습니다.

농림어업이 재배업 중심으로 1.5%, 전기·가스·수도사업은 1%, 건설업은 1.9%, 서비스업은 운수업·금융·보험업 등을 중심으로 0.8% 늘었습니다.

반면 제조업은 컴퓨터·전자·광학기기·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4.1%가 줄었습니다.

지난해 연간 GDP는 전년대비 2.6% 증가했지만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년 대비 1.1%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가 상승 등 교역 조건 악화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