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1.30 비트코인 분석 - SONG : 조정은 끝났나?
안녕하세요 에이엠매니지먼트 송승재입니다.
1월 중순경 시작된 하락이 1월 마지막주까지 이어지다가 말일에 가까워지자 크게 반등하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반등 움직임이 예상보다 강하자 추가 조정을 기다리던 일부 시장 참여자들은 관점이 애매해졌을거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현재의 반등을 조정 추세의 마무리로 봐야할지 또는 단순 기술적 반등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에이엠매니지먼트 (AM) 구독으로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에이엠 매니지먼트 (AM)
재테크 평균 주12회 신규 업데이트
전일 00시~24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전주 월요일 00시부터 일요일 24시까지 집계한 결과입니다.
🏋️♂️움직이는 이더리움, 이제 추세를 바꿀 차례
25.04.21 이더리움 시황입니다. 🔔 비탈릭 부테린: “재단 일은 됐고, 나 연구 몰빵함” 즉, 회의나 정치질(?) 같은 건 다른 애들이 하기로 하고, 비탈릭은 천재력 쿨타임 돌려서 대형 패치 기획 담당. 📌 재단 내부 기류 변화 피드백은 계속 받고 있었음. 하지만 이제부터는 실제로 뭘 만들겠다는 방향으로 급틀. 핵심 개발팀: “네가 판 벌렸으니까 우리가 구현하라고? ㅇㅋ…” 🎯 중요한 뒷말 이게 왜 중요하냐면? → 그동안 이더리움은 기능 많고 멋진데 쓰기 너무 불편하고, 느리고, 비쌈. → 이제 실사용자 확보용 최적화 모드로 간다는 뜻. → 특히 L2, Danksharding 등 주요 기술이 여기서 빛을 볼 가능성 있음. 🧨 한 줄 요약 비탈릭: “난 이제 기술 뇌 쓰는 캐릭임” 재단: “쟤가 천재니까 말 걸지 말고 팀이 알아서 구현하자” 개발팀: “일감 또 늘었네…” 커
🏄♂️솔라나, 도미넌스 강세에도 흔들림 없는 상승세
25.04.21 솔라나 시황입니다. 요즘 솔라나(SOL) 차트 보면 혼자 컨디션 좋은 날 느낌 나는 거 체감했을 거임. 단순히 “그냥 감이 좋아서 오르는 듯?”은 아님. 최근 들어 실제 호재성 이벤트가 연달아 터지고 있음. 아래는 최근 2주간 주요 이유 요약. ✅ 1. 캐나다발 현물 ETF, 드디어 등장함 4월 16일, 캐나다에서 솔라나 현물 ETF 출시됨 → 그것도 스테이킹 가능한 버전으로 나옴 → 기관들 입장에선 “SOL 사서 들고 있으면 이자까지 받네?” 가능해진 셈 → ETF 상장 후 바로 가격 +4.5% 반응 나옴 ✅ 2. 실사용 데이터 폭발 – 체감 유저 늘어남 최근 7일 기준, 활성 주소 수 400만 개 돌파 → 이더리움, Base 다 제낌 → 디파이, NFT, 온체인 게임 쪽에서 체감 유입 많아짐 ✅ 3. 기관도 스테이킹 참여 – 걍 진심임 Galaxy Digital, 4일간 60만 SOL 거래소에서 출금 → 그 중 46만 SOL
🧭 Daily Crypto Market Insights (2025.04.21)
🧭 Daily Crypto Market Insight 📅 2025년 4월 21일 오전 11시 기준 📍 분석 종목 : BTC, ETH, SOL, XRP, DOGE https://t.me/amdailymarket 최근 주요 암호화폐가 단기 반등 흐름을 보이며 일부 자산에서 선물·현물 간 괴리가 커지는 양상이 관찰됨.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강한 펌핑 이후 미결제약정 급등 및 펀딩비 확대가 동반되고 있음. 반면, 솔라나와 도지코인은 펀딩 중립 구간에서 현물 수급 약세가 지속되는 구조. 전반적으로 변동성 확대 구간으로 해석되며, 구조적 전환보다는 기술적 흐름 중심의 장세 진행 중. 📊 CVD(선물 누적 거래량 델타): +8.56K 📉 Aggregated Spot CVD: -1.82K 📈 Open Interest: 81.03K 📈 펀딩비: +0.0014 📌 해석: 선물 시장에서는 강한 롱 유입이 관찰되며, 미결제약정도 상승세 동반. 현물 CVD는 여전히 음수 구간으로, 스팟 수급 회복은 미진한 상태. 🎯 관찰 포인트: $87,500~$88
AM WEEKLY REPORT 4월 4주차
매주 월요일 마다 거시 경제 및 암호화폐 시황을 정리하여 리포트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AM 공식 채널 AM 공식 유튜브
집계 기준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없습니다.
🔥 비트코인, 올라가고 싶으면 이제 보여줘야 한다
25.04.17 비트코인 시황입니다. 현재까진 일 봉 이평선 저항을 돌파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이를 돌파할 가능성이 조금 더 우세한 상황입니다. 비트코인은 현재 3중 상승 다이버전스를 유지 중이며, 이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선 $85,000 안착과 $89,000 돌파가 결정적인 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 하락 추세선을 돌파한 상태이지만, 추세의 기울기와 고점 구조를 고려할 때, $89,000을 명확히 돌파해야 반등 추세로 전환됐다고 판단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85,000 안착 여부 현재는 $85,000선을 중심으로 등락이 반복되는 흐름이며, 이 구간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받는 흐름이 형성돼야 $89,000 돌파를 시도할 수 있는 에너지 확보가 가능합니다. $89,000 돌파 시 해당 구간은 기술적 반등 흐름이 본격적인 추세 전환으로 전환되는 기준선입니다. 3중 상승 다이버
🧭 Daily Crypto Market Insights
🧭 Daily Crypto Market Insight 📅 2025년 4월 18일 기준 https://t.me/amdailymarket 최근 주요 알트코인에서 선물시장 미결제약정 감소와 함께 롱 포지션 청산이 급증한 모습. 전반적으로 매도 우위 흐름이 포착되며, 단기 조정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음. 다만 CVD(누적 거래량 델타) 기반 스팟 시장 저점 매수세도 일부 포착, 포지션 축소보다는 기술적 반등 구간 탐색이 적절해 보임. 📊 CVD(선물 누적 거래량 델타): +2.64K → + 변동성 속 강한 롱 시도 📉 Aggregated Futures Delta: -4.89K → → 직전 반등 이후 숏세력 점유 📈 Open Interest: 76.71K 유지 → 강한 청산 없었으나 하락세 지속 📉 펀딩비: +0.0048 → 롱 포지션 여전히 과다한 상태 유지 📌 해석: 스팟 시장은 매수세가 일부 유입되었지만, 선물 숏 우위와 함께 롱 강제 청산 가능성 상존. 🎯 전망: $84,500 지지 확인 후 반등 흐름 없을 시 $82,
👀 과거엔 여기서 시작됐다… 비트, 이번에도 같을까?
25.04.15 비트코인 시황입니다. 이번 주 중 $88,800 돌파가 이루어진다면, 일봉 기준 이평선의 골든크로스 형성과 함께 실질적인 추세 전환 가능성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현재 구간은 3중 상승 다이버전스가 형성된 이후의 전개 흐름으로 해석되며, 이 다이버전스의 기술적 목표값은 약 $95,000으로 추산됩니다. 따라서 해당 구간 돌파 시 추세 가속화 가능성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현재 구간은 2021년 상승 추세 흐름과 유사한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1년 전환 흐름: 고점 형성 → 이평선 이탈 → 데드크로스 → 역배열 전환 현재 예상 흐름: 저점 형성 → 이평선 돌파 → 골든크로스 → 정배열 전환 즉, $88,800 돌파는 단순한 가격 돌파를 넘어 전체 추세 전환 구조로 진입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현재 비트코인은 장기간 고점이 낮아지는 우하향 횡보
⏳ 롱은 계속 쌓이는데, 반등은 언제쯤?
25.04.16 이더리움 시황입니다. 이더리움은 여전히 일봉 하락 추세 하단 구간에 위치해 있으며, 현재 중단 저항선을 돌파하려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단기 하락 리스크를 낮추기 위해서는 $1,806 이상에서의 일봉 종가 마감이 필요합니다. 최근 3개월간 하락으로 인해 이더리움의 시장 신뢰는 크게 흔들린 상태입니다. 하지만 비트파이넥스 기준 이더리움 롱 포지션은 역대급 수준으로 증가 중입니다. 과거에도 이더리움이 깊은 조정 구간에 진입했을 때, 비트파이넥스의 롱 물량은 지속적인 증가 → 고점 도달 후 급감 → 가격 상승 패턴을 반복한 바 있습니다. 물론, 이 흐름이 언제쯤 시작 될지는 모릅니다. 따라서 상승 전환 시점에 대한 판단 기준을 명확히 설정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2,104 돌파 여부 이 구간은 하락 트렌드 상단과 고점 전환 구간이
📊 비트코인 2022~2025 연도별 주가 수익률 & 주요 이슈 정리
■ 2022년 - 파멸의 원년 📉 연초 대비 수익률: -65.34% 🧨 주요 이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월): 에너지·식량 위기, 글로벌 공급망 붕괴. 전 세계 인플레이션 급등: 미 연준 등 금리 인상 러시. 루나-테라 붕괴 (5월): 코인 시장의 지옥문 개방. FTX 파산 (11월): 암호화폐 업계 신뢰도 바닥. 세계 인구 80억 돌파 (11월): 지구는 좁고, 인간은 많다. 🧠 요약: 투자자 멘탈 테스트 연도. 사방에서 지옥불. ■ 2023년 - 불사조의 귀환 📈 연초 대비 수익률: +154.46% 🚀 주요 이슈: 중국 제로코로나 종료: 공급망 회복, 소비 회복 기대감. 생성형 AI 대중화 (ChatGPT 등): 기술주 급등, 생산성 환상 랠리. 인도, 세계 인구 1위 등극: 신흥시장 투자 관심 증대. 기후위기 재조명 (캐나다 산불 등): ESG, 친환경 테마 강화. 🧠 요약: AI와 리오프닝의 시너지 폭발. ■ 2024년 - 구조적 성장의 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