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취업자 늘었지만 청년은 10개월째 줄어든 고용시장

입력
수정2023.09.14. 오전 7:21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8월 취업자 수가 전년 동기보다 26만8000명 늘어 30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고용률(63.1%) 실업률(2.0%)도 8월 기준으로 각각 사상 최고와 사상 최저다. 하지만 고질병으로 지적돼 온 청년층(15~29세) 취업난이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다. 8월 연령별 고용을 보면 ‘60대 이상’이 30만4000명으로 가장 많이 늘어났지만 청년층은 10만3000명 급감했다.

정부는 출산율과 인구구조 변화로 청년 인구가 급감한 데 따른 ‘착시 현상’이 있다고 설명한다. 청년층 인구가 1년 전보다 17만2000명이나 쪼그라들었다는 점에서 일리가 없진 않다. 하지만 10개월 연속 청년 취업자 감소, 인구 대비 청년고용률 7개월 연속 하락 등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더 적극적인 대응이 절실하다.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그냥 쉰다’는 청년이 두 달 연속 40만 명을 넘어섰다.

여러 정황을 짚어보면 개선된 고용지표 이면에 감춰진 청년들의 한숨이 분명히 감지된다. ‘청년 고용이 부진하다’는 지적에 기획재정부 차관은 “원활한 노동시장 진입을 지원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모범적인 답변이지만 매번 반복되는 판박이 답변이기도 하다. 청년들이 가고 싶어 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많은 제조업 취업자가 8개월 연속 줄어든 데서 보듯 지금까지와 같은 방식에 안주해선 반전을 기대하기 쉽지 않다.

그런 점에서 기업과 대학 간 ‘채용 미스매치’가 점점 커지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삼성그룹을 제외하면 대기업 공채가 거의 사라진 데서 보듯 청년 채용시장은 경력자들에 의해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대학이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것은 어제오늘 문제가 아니다. 대학 교육을 업그레이드하고 경력 쌓을 기회를 제공하는 등 시장 변화에 맞춘 청년 취업대책의 일대 전환이 시급하다.

귀족노조발 노동시장 경직성이 청년 일자리 잠식의 주범이라는 점도 분명하다. 대기업 노조가 정년 연장(60→65세)을 강력 주장하는 등 기득권 세력의 일자리 독점이 지속된다면 반작용으로 청년 채용은 위축될 수밖에 없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