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오염수 방류 후 오히려 일본 관광 늘었다… 33% 상승

입력
수정2023.08.30. 오후 7:57
기사원문
문경근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국인 일본여행객 ‘노재팬 이전 수준을 향해 성큼’ - 사진은 지난 7월 20일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내 일본으로 향하는 한 항공사 출국 수속 게이트 모습.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개시한 이후 오히려 국내 소비자들의 일본 여행 예약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하나투어 등에 따르면 일본 당국이 오염수 방류를 개시한 다음 날인 지난 25일부터 29일까지 예약인원이 직전 나흘간 대비 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오염수 방류 전후를 비교했을 때 일본 여행 예약이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오염수 방류로 인한 보이콧 등 영향은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하나투어의 9월 출발하는 고객 예약 비중은 동남아가 42%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일본(23.9%), 중국(13.2%), 유럽(13.1%) 순이었다. 동남아 지역은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인기 여행지로 항상 일본과 함께 인기 여행지 1, 2위를 다툰다.

이번 인기 여행지 역시 순위에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오염수 방류 영향은 크게 받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모두투어 상황도 비슷하다. 오염수 방류를 개시하고 이날까지 예약인원이 직전 4일 대비 3% 증가했다.

티웨이항공에 따르면 일본 노선의 평균 예약률은 76%로, 국내선(66%), 중국(61%), 동남아(57%) 노선 평균 예약률을 웃돌아 추석 연휴를 앞두고 항공편 노선 중 가장 많은 예약률을 보였다.

대한항공은 정확한 예약률을 공개하진 않았지만 80~90%에 가까운 예약률을 기록해 항공권 구하기가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입장이다.

일본 여행이 증가한 것은 이번 추석이 6일이나 쉬는 황금연휴가 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중국 등을 외면하고 비교적 가까운 일본을 택하는 것도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중국보다는 일본이나 동남아를 많이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