닷새째 확산 중인 경북 의성 산불이 강풍을 타고 북동부권 4개 시·군으로 계속해서 번지면서 현장 상황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걷잡을 수 없이 퍼져나가는 산불을 당국이 막지 못하면서 북동부권 산불 현장은 이제 피해 규모를 산출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정도로 초토화됐다.
진화 헬기 추락 사고나 산불 확산에 따른 사망자도 속출하고 있다.
26일 산림 당국은 일출 시각인 오전 6시 30분을 전후해 의성, 안동, 영양, 청송, 영덕 등에 진화 헬기 87대와 인력 5421명, 진화 장비 656대를 투입해 주불 등을 끄는 데 힘을 쏟았다.
하지만 오후 들어 순간 최대 초속 11m 이상의 강한 바람이 불고 낮 최고 기온도 20도를 웃도는 기상 악조건이 닷새째 이어지면서 진화 작업도 어려움을 겪었다.
이런 상황에서 낮 12시 51분쯤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 한 야산에서 진화 작업에 투입된 헬기 1대가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해 진화 작업에 핵심 장비인 헬기 운항이 잠정 중단됐다가 오후 3시 30분부터 순차적으로 재개됐다.
추락 헬기는 강원도 인제군 소속의 담수 용량 1200ℓ의 S-76 기종으로 헬기를 몰던 기장 A씨(73)는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날 오후 6시 기준 진화율이 68%에 머물렀던 의성·안동 산불 진화작업은 기상 악조건과 돌발 사고 등이 겹치면서 계속해서 더디게 진행된 까닭에 1만5185㏊로 추정됐던 산불영향구역이 현재 어느 정도까지 늘었는지는 가늠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산림청이 산불영향구역을 추산하기 위해 항공기 정찰을 실시했으나 분석할 영상 자료 등이 많아 아직 집계를 완료하지 못한 까닭이다.
산림청은 이날 의성·안동을 제외한 청송·영양·영덕 3곳의 산불영향구역이 1만6019㏊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또 의성·안동 2곳 산불영향구역은 여전히 조사·분석 중이라고 했다.
다만 전날 오후까지 집계된 의성·안동 2곳 산불영향구역 범위를 감안하면 현재 불이 확산 중인 북동부권 5개 시·군 수치를 합한 전체 규모는 이미 3만㏊를 훌쩍 뛰어넘은 것으로 추정된다.
급변하는 풍향에 따라 전방위로 확산 중인 산불에 세계문화유산과 유명 고찰 등도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현재 의성 산불은 직선거리로 세계문화유산인 안동하회마을 앞 4∼5㎞ 지점 야산까지 다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당국은 기와집과 초가집이 많이 남아 있고 유교 문화를 비롯한 전통이 온전하게 보존된 하회마을을 사수하기 위해 진화 헬기 2대를 투입해 진화 작업을 시도했으나 시정이 좋지 않아 철수했다.
현재 하회마을은 5∼10㎞ 떨어진 야산, 골프장 등에서 발생한 산불에서 뿜어져 나온 연기로 뒤덮인 상황이다.
초긴장 상태에 놓인 마을 주민들은 소방 당국과 함께 소화전 30개와 소방차 19대 등을 활용해 2시간 간격으로 마을 내 가옥 등에 물을 뿌리는 작업을 반복하고 있다. 안동시는 오후 8시30분쯤 풍천면 하회 1리, 2리 주민들에게 대피명령을 내렸다.
당국은 세계유산인 봉정사를 보호하기 위해 사찰 주변 30m에 있는 나무를 벌채해 안전을 강화했다.
이날 청송 주왕산 국립공원에도 또다시 불길이 번져 천년고찰 대전사를 위협하고 있다.
소방 당국 등은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사찰 뒤편에서 벌채 작업을 벌였고 사찰 내 주요 문화재를 부직포로 감싸 보호했다.
승려를 비롯해 사찰 관계자들은 석탑 등을 제외한 일부 문화재를 추가로 반출하는 한편 불쏘시개가 될 수 있는 풍등도 제거하는 등 방어에 사력을 다하고 있다.
일몰 후 야간 대응 체제로 전환한 당국은 인력 3333명을 투입해 전력 시설, 민가, 다중이용시설, 국가문화 유산 등과 같은 중요 보호시설 주변에 방화선을 구축할 계획이다.
하지만 당국의 계속된 노력에도 불구하고 남풍과 남서풍 방향 강풍이 지속해 이어질 경우 산불이 원자력 발전소가 있는 울진 등 동해안 지역도 위협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산불 경로를 따라 사망자와 부상자, 실종자 등 인명피해도 빠르게 늘고 있다.
전날 오후부터 현재까지 영양군, 청송군, 영덕군, 안동시 등 4곳에서 발견된 사망자는 모두 21명이다.
사망자들은 화마가 휩쓸고 간 야산 주변 도로와 주택 마당 등에서 발견됐으며 이 가운데는 일가족도 포함됐다.
영덕군 사망자 일부는 실버타운 입소자로 대피 도중 산불확산으로 타고 있던 차량이 폭발하면서 변을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당국은 다수 사망자가 걷잡을 수 없이 번지는 산불에서 뿜어져 나오는 연기를 미처 피하지 못해 질식하는 등 피해를 본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기약 없는 산불이 닷새째 번지면서 이날 안동 도심 곳곳은 낮인데도 밤 같은 회색빛 하늘을 보였고 타는 냄새가 코를 찔러 마스크를 잠시라도 안 쓰면 두통을 호소하는 시민들이 많았다.
연기유입으로 문을 닫는 가게도 속출하고 있다.
현재 의성과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5개 시·군에는 주민 8753명이 실내체육관 등으로 대피한 상황이다. 또 현재까지 각종 시설 257곳에서 산불 피해가 난 것으로 잠정 파악됐다.
고속도로는 예천∼의성 분기점, 동상주∼영덕 분기점 양방향이 전면 통제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