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구조 부실 의혹 열흘도 안돼
올들어 미국서 가장 큰 규모 파산
암호화폐 시총, 5일간 192조 증발
다른 거래소도 '준비금 조작' 의혹
'코인계 워런 버핏' 뱅크먼프리드
고객 예치금 유용·부당거래 의혹
파산 후 6.6억弗 코인 도난 신고도부실한 재무구조가 드러나며 유동성 위기에 빠졌던 글로벌 암호화폐거래소 FTX가 끝내 파산을 신청했다. 총부채만 많게는 500억달러(약 66조원)에 이르는 업계 사상 최대 규모의 파산이다. 금융권 안팎에선 FTX 붕괴를 2001년 희대의 회계 부정으로 파산한 미국 에너지 기업 엔론 사태에 빗대며 후폭풍을 우려하고 있다. 후오비 크립토닷컴 게이트아이오 등 일부 거래소는 서로 부족 자금을 빌려주며 ‘돌려막기’를 하고 있다는 의혹도 나왔다.
파산보호를 신청한 것은 FTX 그룹 소속 기업 134곳이다. 본사 격인 FTX와 미국 법인인 FTX US는 물론 FTX 재무 부실의 핵심에 있는 헤지펀드 알라메다리서치가 모두 포함됐다.
FTX는 총부채가 최소 100억달러에서 최대 500억달러에 이르며 채권자는 10만 명이 넘는다고 신고했다. 보유 자산은 부채와 같은 규모라고 했다. 하지만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파산 신청 직전 FTX의 유동자산은 9억달러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FTX는 파산 신청 직후 6억6200만달러 규모 자산이 “비정상적으로 유출됐다”고 밝혔다. 업계 안팎에선 “해킹을 가장해 FTX가 자금을 빼돌린 것 아니냐”는 의혹이 번지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FTX의 샘 뱅크먼프리드 창업자와 경영진은 이미 100억달러 상당의 이용자 자금을 빼돌려 알라메다에 지원한 전적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FTX 파산은 전체 금융시장에도 파장을 미칠 전망이다. 블랙록 소프트뱅크 등 FTX에 총 14억달러가량 투자한 기관들도 대부분 손실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뱅크먼프리드가 지분을 보유한 로빈후드와 비트코인 투자 비중이 높은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코인 투자사 갤럭시디지털 등 상장사들은 1주일 새 주가가 급락하며 시총이 50억달러 가까이 증발했다.
국내 원화 거래소들은 분기 또는 반기마다 회계법인을 통해 외부 감사를 받고 그 내용을 웹사이트에 공개하고 있다. 양대 거래소인 업비트는 투자자 예치금 대비 보유 자산의 현금 가치 비율이 102%(10월 기준), 빗썸은 119%(6월 기준)라고 밝혔다. 지급 불능 위험은 없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해외 거래소들과 달리 거래소의 지갑 주소를 공개하지 않고, 공시 내용도 세부 내역이 공개되지 않아 이용자의 불안을 덜기엔 역부족이란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