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호소·與 총력전에도 '중도층 70%' 탄핵 찬성…여론전 효과 '뚝'

입력
수정2025.03.03. 오전 7:00
기사원문
한상희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보수 결집으로 탄핵 반대 일시 증가했지만 다시 찬성 우세
한 달 새 청년층 여론은 악화…20대 탄핵 찬성 61%→71%
3·1절인 1일 서울 도심 곳곳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반 집회가 열렸다. 사진 왼쪽은 종로구 안국동에서 열린 야5당 공동 '윤석열 파면 촉구 범국민대회'. 오른쪽은 광화문광장 일대에서 열린 '자유통일을 위한 국민대회'. 2025.3.1/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서울=뉴스1) 한상희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국민의힘이 3·1절 전국 탄핵 반대 집회와 단식 농성 등 총력전에 나섰다. 하지만 보수 결집이 연초 최대치에 달한 이후 탄핵 여론이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어 여론전의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3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국갤럽이 지난달 25~27일 전국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월 넷째 주 조사에서 탄핵 찬성(59%)과 탄핵 반대(35%)의 격차는 24%포인트(p)로 전주 대비(60% 대 34%) 2%p 줄어드는 데 그쳤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특히 중도층에서 탄핵 찬성 응답은 70%로 탄핵 반대 23%보다 47%p 높았다. 무당층에서도 탄핵 찬성(64%)이 반대(18%)보다 압도적으로 높았다.

반면 보수층은 탄핵 반대(71%)가 찬성(27%)을 크게 웃돌았다. 국민의힘 지지층의 경우 84%가 탄핵 반대 입장을 보였다.

탄핵소추안 가결 직전인 지난해 12월 둘째 주에는 중도층(83%)과 보수층(46%)이 탄핵 찬성 입장을 보이며 전체 찬성률이 75%에 달했다.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과 윤 대통령 체포 이후 보수층이 결집하면서 1월 셋째 주 탄핵 찬성률은 57%(중도 68%·보수 23%)까지 하락했다. 다만 이후 한 달 넘게 비슷한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청년층 여론은 악화됐다.

20대 탄핵 찬성률은 1월 셋째 주 61%에서 2월 넷째 주 71%로 10%p 상승했다. 윤 대통령이 최종 변론에서 "청년들이 대한민국이 처한 상황을 직시하고 주권을 되찾고 나라를 지키기 위해 나서고 있다"고 했지만 의도와 달리 부정적 여론이 높게 잡힌 셈이다.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이 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에서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반대'를 촉구하며 무기한 단식 농성을 하고 있다. 박 의원은 최상목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힐 때까지 농성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2025.3.2/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여권은 윤 대통령 탄핵 반대 여론전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지난 1일 열린 3·1절 집회에서 김기현 전 대표와 추경호 전 원내대표 등 여당 의원 37명이 직접 연단에 올라 탄핵 반대 입장을 밝혔다.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은 이날(3일)에도 서초동을 찾아 윤 대통령 석방 촉구 장외 여론전을 이어갈 예정이다.

박수영 의원은 전날(2일)부터 진보 성향의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에 반대하며 무기한 단식 농성에 돌입했다.

그러나 국민의힘의 이런 시도가 이전에도 지속돼 온 가운데 이번 조사에서 보듯이 탄핵 찬성 여론의 이탈은 없고 도리어 청년층 여론만 악화됐다면 국민의힘의 현 대응 전략이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일부 강성 보수층의 결집만이 이뤄진 상황 속 중도층과 청년층의 표심이 떠나는 것은 당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여권 관계자는 "헌재 결정이 임박한 가운데 3·1절 집회로 보수와 진보 모두 전국적으로 세몰이를 예고했다"며 "현재까지 여론 흐름을 보면 광장 정치가 중도층 여론을 움직이는 데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고 평가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탄핵 반대 여론이 탄력을 받으면 (전체) 여론을 흔들 가능성이 있다"며 "여론의 주도권을 잡게 되면 중도층이 '내가 잘못 생각했나'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정치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