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뻐근해 소화 안되는 줄”…사이클 즐기던 40대男, 가슴 통증 겪고 '이 암'?

입력
기사원문
최지혜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진단, 조혈모세포 이식 통해 회복
자전거로 100km 장거리도 거뜬히 달리던 40대 영국 남성이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진단을 받은 사연이 공개됐다. 남성은 100회 이상의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조혈모세포 이식 등을 통해 건강을 회복했다. [사진=영국 매체 더 미러 보도 갈무리]


자전거로 100km 장거리도 거뜬히 달리던 40대 영국 남성이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진단을 받은 사연이 공개됐다.

영국 매체 더 선에 따르면 닐 모리스(44)는 작년 11월 100km 사이클 완주했으나 목과 가슴이 뻐근한 압박감을 느꼈다. 평소 사이클과 마라톤을 즐길 정도로 건강했기에 닐은 단순 소화불량 증상일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날카로운 통증은 계속됐다.

결국 병원을 찾은 닐은 병원을 찾았고 CT 검사를 받았다. 그 결과 가슴에 거대한 덩어리가 발견됐다. 피가 끈적끈적해지면서 발생하는 피떡(혈전)도 확인됐다. 추가 검사를 받은 닐은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흔한 혈액암인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aemia)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닐의 아내인 제니는 "남편은 자전거와 달리기를 즐기고 마라톤도 여러 번 완주하는 등 항상 건강했다"며 "백혈병 진단으로 인생이 뒤집어졌다"고 말했다.

이후 닐은 백혈병 치료를 받으며 회복에 집중했다. 100회 이상의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와 다섯 번의 골수 생검을 받았다. 골수 생검이란 악성 종양의 골수 전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골수 표본을 채취하는 검사다. 항암치료 외에도 닐은 독일의 한 기증자로부터 조혈모세포를 이식받기도 했다.

현재 닐은 건강이 완전 회복된 상태는 아니지만 경과가 좋은 것으로 전해졌다. 닐은 "기증 덕분에 내가 다시 살아갈 수 있다"며 "감사함을 직접 전할 순 없어도 앞으로의 내 삶이 그 감사함을 전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격적인 혈액암 일종인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

백혈병은 주로 사연 속 남성이 앓는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이란 진행 속도가 매우 빠르고 공격적인 혈액암이다. 혈액과 골수에서 림프구라는 면역세포가 비정상적으로 급격하게 증식해 백혈구, 혈소판 등의 정상적인 생성을 방해한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 환경적 요인, 특정 바이러스 감염 등이 위험요인으로 꼽힌다. 방사선이나 화학물질에 과다하게 노출되거나 HIV 감염 등이 발병 위험을 증가시킨다.

초기에는 코피, 잇몸 출혈, 멍 등 피부 안팎으로 출혈이 생기는 증상이 흔히 나타난다. 빈혈과 피로감과 쇠약감도 쉽게 느낀다. 면역력과 장기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위 사연처럼 가슴 통증 등 소화불량과 비슷한 증상도 나타날 수도 있다. 이 외에 식욕 부진, 구토, 배탈, 체중 감소 등 증상도 발생한다.

병 진행 속도 빠르지만 '조혈모세포' 이식으로 완치 가능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다행히 완치가 가능한 병이다. 위 사연의 남성처럼 환자들은 먼저 항암 치료를 받아 백혈병 세포를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시킨다. 이 과정을 관해(유도) 치료라고 한다. 관해란 백혈병 세포비율이 5% 미만으로 낮아진 상태다.

환자가 관해 판정을 받으면 조혈모세포 이식이 가능한 상태다. 조혈모세포란 뼈 안에 있는 골수에서 만들어지는 세포로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 여러 혈액세포를 만든다. 때문에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면 새로운 골수와 혈구가 생성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런 치료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완치 가능성이 높아진다.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따르면 국내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는 2022년 1060명이다. 이 중 남성은 613명, 여성은 447명이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19.6%로 가장 많았고 50대 14.8%, 70대 14.6% 순이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