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사육 시설에서 곰이 탈출하는 일, 여러 차례 있었습니다.
하지만 불법 사육 농가가 얼마나 되는지 파악도 안 되는 데다, 적발돼도 뾰족한 대책이 없습니다.
환경부는 뒤늦게 전수 조사에 들어갔습니다.
계속해서 김진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이 농가에서는 지난해 두 차례나 사육 곰이 탈출했습니다.
열악한 시설 탓에 곰 탈출 사고만 6번이 났습니다.
더욱이 사고가 난 농장은 미등록 불법 시설이었습니다.
역시 2019년에 이어 일 년 전에도 곰이 탈출했습니다.
[최태규/곰 보금자리 프로젝트 대표 : "오늘 당장 사고가 나도 이상할 것이 없는 상황이라는 것을 인지했다면, 반복적으로 계속 탈출을 하고 있는데 적극적으로 뭔가 조치를 취하지 않은 거죠."]
탈출한 곰을 잡아도 처리가 문제입니다.
사고가 난 농장도 지난해 탈출한 곰을 어렵게 포획했지만, 다시 농장으로 돌려보냈습니다.
맡을 곳이 없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낙동강유역환경청 관계자/음성변조 : "동물원들이랑 전화하고 했는데 (사육 곰을) 받는다고 한 데도 없었고, 케이지(우리)도 없었고, 몰수시설이 환경부에 있는 것도 아니고..."]
최근에야 환경 당국이 사육 곰 보호 시설을 짓기로 했지만 내후년이나 돼야 합니다.
정부가 파악하고 있는 전국의 곰 사육 농가는 22곳, 개체 수는 319마리입니다.
곰 탈출로 인명피해가 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사고가 나서야 환경부가 사육 곰 안전실태 조사에 나서기로 했지만, 불법 사육 시설이 얼마나 되는지, 개체 수는 몇 마리인지는 파악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곰 사육 종식까지 선언하며 2026년부터 곰 사육을 금지하기로 했지만, 이번에는 관련 법안이 반 년째 국회 상임위에 묶여있습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영상편집:최근혁/그래픽:노경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