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케시마에 갈 수 있게 될거야"라던 일본, 27억 쏟아붓는다

입력
기사원문
박지혜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박지혜 기자] 일본이 독도 영유권 주장 관련 홍보 강화를 위해 약 3억 엔(약 27억 원)의 내년 예산안을 편성했다. ‘한국 홍보 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일본의 전략을 ‘역이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요미우리신문 보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 같은 경비를 통해 외국인 대상 세미나를 개최하고 도쿄에 있는 영토·주권 전시관을 보수하는 등 대외 홍보 활동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 저명한 국제법 관련 교수들에게 정기적으로 이메일을 보내 독도 등이 자국 영토라는 주장을 알릴 계획이다.

일본 영토·주권전시관 홍보 영상
이에 대해 서 교수는 11일 SNS를 통해 “독도에 관한 국제적인 여론을 한번 조성해 보겠다는 일본의 전형적인 꼼수 전략”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우리는 일본의 이런 전략을 ‘역이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예를 들어 저명한 해외 전문가에게 보낸 메일의 오류를 논리적으로 바로 잡아 일본 정부만의 억지 주장임을 밝혀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우리도 독도에 대한 전방위적인 전 세계 홍보를 강화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서 교수는 “특히 세계인이 주목하는 K 콘텐츠에 자연스럽게 녹여내는 방식을 통해 문화관광적인 측면으로 세계인과의 소통을 늘려야만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한 국가의 가장 기본적인 근간은 영토다. 대한민국 영토의 상징인 독도를 잘 지켜내기 위해 우리 국민이 더 깨어나야 할 때”라고 밝혔다.

앞서 일본 국립 전시관이 한국 고유 영토인 독도를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라고 부르며 “미래 세대에는 갈 수 있다”는 억지 주장을 담은 영상을 홍보에 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2년 전 일본 영토·주권 전시관 유튜브 계정에 올라온 영상에서 아이는 아버지에게 “북방영토라든가 다케시마라든가 일본인데도 갈 수 없는 장소가 있다”고 말한다.

이에 아이 어머니는 영토·주권전시관을 다녀온 뒤 아들에게 “일본인이 개간해 살아온 토지에 지금은 갈 수 없다”며 “너희 시대에는 꼭 갈 수 있게 될 거야”라고 강조한다. 아버지도 “꼭 갈 수 있어”라고 동의한다.

영토·주권 전시관은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주장하는 고문서와 고지서뿐만 아니라 중국과도 분쟁 중인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가 일본 영토라는 주장에 대한 자료가 전시돼 있다.

올해 들어 일본의 ‘과거사 지우기’와 우경화 움직임은 더 거세졌다.

일본 정부는 지난 4월 11일 공개한 외교청서에서 “다케시마는 역사적 사실에 비춰봐도 국제법상으로도 명백한 일본 고유의 영토”라며 “한국이 불법 점거를 계속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 외교부는 대변인 논평을 내고 “일본 정부가 외교청서를 통해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고유의 영토인 독도에 대한 부당한 영유권 주장을 되풀이한 데 대해 강력히 항의하며, 이를 즉각 철회한 것을 촉구한다”고 대응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한국의 항의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 대변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외교청서의 한국 관련 기술과 관련해서 다케시마 문제 등에 대해 한국으로부터 항의가 있었다”면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취지로 반론했다”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