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고급주택값 하루새 40% 폭락… 中부자들, 시진핑 3연임후 처분 나서”

입력
수정2022.10.27. 오전 3:47
기사원문
김기용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시진핑發 차이나 런]
117억원짜리, 70억에 매물 내놔
증시도 외국인 하루 3조여원 이탈
대만 언론 “脫중국 움직임 확산”
AP 뉴시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자신의 최측근들을 중국공산당 최고지도부에 포진시키며 3연임을 확정한 다음 날인 24일 상하이의 고급 주택 가격이 하루 만에 30∼40% 떨어졌다고 대만 쯔유(自由)시보가 26일 보도했다. 시 주석 1인 독재 우려로 ‘차이나 런’(중국 회피·차이나와 뱅크런의 합성어)이 시작된 가운데 중국 내 부유층들이 먼저 자산 매각에 나섰다고도 전했다. 이날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24일 하루 중국 본토 증시에서 빠져나간 외국인 자금이 역대 최대 수준인 25억 달러(약 3조5700억 원)에 달했다.

쯔유시보는 “상하이의 고급 주택 화산샤두위안(華山夏都園)이 지난달 6000만 위안(약 117억 원)에 팔렸지만 24일부터 3599만 위안(약 70억 원)에 매물이 나오고 있다”면서 “하루 만에 가격이 40% 이상 떨어졌다”고 전했다. 화산샤두위안은 유명 홍콩 배우 량차오웨이의 부인인 중국 배우 류자링이 살면서 유명해진 곳이다. 쯔유시보는 상하이 부유층들이 모여 살고 있는 다른 지역의 고급 주택도 지난달 5500만 위안(약 107억 원)에 팔리던 것이 3000만 위안(약 58억 원)까지 떨어졌다고 보도했다.

쯔유시보는 “중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졌고 부유층에 대한 제재가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며 “부유층들이 집을 팔아 현금을 마련하려고 하면서 집값이 떨어지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 주석의 심복 리창(李强) 상하이시 당 서기가 총리에 내정되자 상하이에 대한 통제가 강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많다. 리창은 4월 경제 상황에 대한 고려 없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명분으로 두 달 이상 상하이를 봉쇄했다.

특히 상하이에 살고 있는 대만 출신 부유층들이 먼저 움직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쯔유시보는 상하이 부동산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대만 출신 사업가들이 호텔이나 레스토랑 등을 서둘러 매물로 내놓고 있다”면서 “시 주석의 강경 정책으로 중국과 대만 갈등이 커지면 가장 먼저 피해를 볼 수 있다는 걱정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쯔유시보는 이 같은 현상이 상하이 주변 장쑤성, 저장성 등으로 확산하고 있다며 중국 내 부유층들의 탈중국 현상이 앞으로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기자 프로필

동아일보 베이징 특파원입니다. 한민족 5000년 역사에서 한 번도 빠진 적이 없는 나라, 좋든 싫든 함께 부대껴야 하는 나라 중국의 이면과 속내를 알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