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뇨병의 진단
당뇨병은 심한 고혈당이나 관련된 합병증이 발생하기 전에는 특별한 증상이 드러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때문에 자신이 당뇨병 환자인지 모르고 생활하다가 심각한 합병증을 얻고 나서야 뒤늦게 알게 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나 당뇨병은 초기에 발견해서 잘 관리하면 도리어 누구보다도 건강하게 지낼 수 있기 때문에 당뇨병 고위험군이거나 관련 증상이 의심될 경우엔 조기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조회 168,405본문으로 이동 -
2
인슐린 저항성 VS 인슐린 감수성
학생들(포도당)이 체육 수업을 마치고 교실로 왔는데, 교실 문 열쇠가 없어서 문 앞에 우르르 몰려있다. 이때 열쇠를 갖고 있는 사람(인슐린)이 문을 열면 학생들은 앞다투어 교실 안(세포)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것이 일반적인 인슐린의 작동 원리이다. 그런데 문이 낡거나 무거워서 열쇠로 잠금 장치를 풀어도 문이 조금 밖에 열리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문의 무거운 정도를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한다.
조회 403,501본문으로 이동 -
2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
유산소 운동은 혈당 조절 효과가 뛰어나 당뇨병 환자들에게 많이 권해지는 운동이다. 유산소 운동의 종류에는 걷기와 조깅, 등산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유산소 운동은 당뇨인들에게는 매일 먹어야 하는 ‘밥’과 같은 존재다. 자신의 성향이나 상태에 잘 맞고, 무엇보다 일상에서 쉽게 규칙적으로 할 수 있는 운동을 선택해야 지속성을 높일 수 있다.
조회 422,897본문으로 이동 -
혈당측정기 사용법
당뇨병 관리 중에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것은 적절한 혈당 관리라 할 수 있다. 혈당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려면 식사요법, 규칙적인 운동, 적절한 약물치료 이 삼박자가 잘 맞아야 한다. 그리고 또 하나, 자신의 혈당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자가혈당측정 습관이 중요하다. 자가혈당측정 습관은 즉각적이고, 면밀하고, 무엇보다 부지런히 혈당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실용적인 검사법이다.
조회 326,724본문으로 이동 -
당지수란 무엇일까?
당뇨병으로 인한 만성합병증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높이려면 정상에 가까운 혈당을 유지해야 한다. 식후 혈당은 어떤 음식을 어떻게 조리해서 얼마나 먹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 중에 당지수(GI, Glycemic Index)가 높은 식품을 상대적으로 당지수가 낮은 식품으로 바꾸면 혈당조절이 좋아지는 효과가 알려지면서 당지수가 낮은 식품이 당뇨병에 좋은 식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조회 69,794본문으로 이동 -
2
인슐린 펌프 치료란 무엇인가?
당뇨병 환자라면 인슐린 펌프라는 말을 한번쯤 들어보았을 것이다. 편리하고 획기적인 치료법이라는 의견도 있고, 비싼데다가 번거롭고 위험하다는 의견도 있다. 그럼에도 인슐린 펌프 치료는 점점 많은 주목을 끌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조회 191,457본문으로 이동 -
당화혈색소 확인하기
오랫동안 관리를 해 오고 있는 당뇨병 환자들이 금과옥조로 여기고 있는 지표가 있다. 모처럼 내원하는 날, 주치의로부터 “○○○이 아주 좋다”는 얘기를 들으면 마치 성적표를 잘 받은 학생처럼 며칠 간은 기분이 좋다. 이것은 당뇨병 환자를 웃게도 하고, 울리기도 한다. 바로 당화혈색소 얘기다.
조회 999,999+본문으로 이동 -
8
6가지 식품군 이야기
당뇨병 환자의 식단을 짜는데 기준이 되는 식품교환표에서는 주요 영양소에 따라 식품을 6가지로 나누어 묶어 놓았는데, 이를 6가지 식품군이라고 부른다. 같은 군에 속하는 식품들은 섭취할 때 비슷한 구성의 영양소를 얻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각각의 식품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알아보자.
조회 83,338본문으로 이동 -
ABC 목표 설정하기
병원에서 당뇨병 환자는 단순히 혈당 조절만을 염두에 두고 치료하지 않는다. 보다 범위를 넓혀 미세혈관 및 대혈관합병증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치료까지도 목표로 삼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ABC[A: HbA1c(혈당, 당화혈색소), B: blood pressure(혈압), C: cholesterol(지질)]로 요약하여 각각의 목표를 설정하여 다각적인 측면의 치료를 강조하고 있다.
조회 11,614본문으로 이동 -
당뇨병 환자가 꼭 기억해야 할 숫자들
우리는 살면서 무수한 숫자들을 만난다. 날짜와 시간을 숫자로 표기하고, 무엇인가를 분류하거나 기억해야 할 때도 숫자를 사용한다. 최근의 공익광고 카피 말대로 ‘세상과 소통할 수’ 있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숫자를 사용하고 기억해야 한다.
조회 141,680본문으로 이동 -
당뇨병 전단계와 대사증후군
정상 혈당은 최소 8시간 이상 음식을 섭취하지 않은 공복 상태에서 잰 혈당 수치가 100mg/dL 미만이고, 경구당부하검사 2시간 후의 혈당 수치가 140mg/dL 미만일 때를 말한다. 혈당 검사에서 정상혈당의 범위를 벗어났지만, 당뇨병으로 진단될 정도로 높지 않은 경우를 ‘당뇨병 전단계’라고 한다.
조회 462,929본문으로 이동 -
당뇨병
우리 몸의 혈액 속에는 달콤한 당분, 포도당이 있다. 포도당은 우리 몸의 가장 기본적인 에너지 공급원으로, 뇌, 근육 및 지방 등과 같이 포도당 이용이 필요한 여러 조직에서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당뇨병은 이 포도당의 대사에 이상이 생겨 일어나는 대사질환의 일종이다. 혈중 포도당, 즉 ‘혈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이 특징이며. 이로 인해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되는 병이 바로 당뇨병이다.
조회 316,897본문으로 이동 -
근력운동의 정의와 중요성
근력운동이란 근육에 일정한 과부하(무게)를 주는 운동이다. 점차 부하(무게)를 늘려가면 근육의 힘인 근력이 강화된다. 근육이 힘을 내는데 산소의 소비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무산소성 운동에 포함된다. 근력운동은 유산소 운동과 함께 병행해서 실시하면 혈당 개선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근력운동을 통해 근육의 양이 늘어나면, 근육이 사용하는 포도당의 양도 증가하기 때문에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된다.
조회 142,865본문으로 이동 -
당뇨병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제1형 당뇨병은 주로 소아청소년기에 발생해 30~40세 전에 진단되는 경우가 많아 ‘소아 당뇨병’이라고도 한다.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이 생산되지 않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몸 속에서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므로 외부에서 인슐린을 투여하는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며, 이 때문에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라고도 한다. 소아에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성인에서도 제1형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회 310,909본문으로 이동 -
하루 필요열량 구하기
하루에 섭취해야 하는 음식의 열량을 하루 총열량이라고 하는데, 이는 개개인의 당뇨인이 유지해야 할 표준체중과 일상생활에서 활동하는 정도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자신에게 맞는 표준체중을 알고 이를 바탕으로 하루 총열량을 계산하여 하루에 얼마나 먹을지를 결정해야 한다.
조회 168,750본문으로 이동 -
당뇨병 관리 10가지 기본원칙
혈당을 잘 관리한다는 것은 공복혈당이 80~120mg/dL, 식후혈당<180mg/dL, 그리고 취침 전의 혈당 수치가 100~140mg/dL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여기에 3개월의 평균혈당인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조절된다면 아주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조회 128,561본문으로 이동 -
2
좋은 기름, 나쁜 기름
지방은 우리 몸에서 주요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는데, 탄수화물이나 단백질보다 배 이상의 에너지를 낸다. 탄수화물이나 단백질 1g이 4kcal의 열량을 내는데 비해, 지방 1g은 그 두 배가 넘는 9kcal의 열량을 낸다. 그만큼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뜻이다. 또 지방은 세포막, 호르몬 등을 구성하는 필수 성분으로 동맥벽을 탄력있게 만들어 원활하게 수축 · 이완되도록 하며, 혈액응고를 지연시켜 혈전 생성을 억제해준다.
조회 289,378본문으로 이동 -
3
당질(탄수화물) 알아보기
탄수화물은 혈당 조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영양소로 당뇨병을 진단받고 나면 가장 조심해야 하는 영양소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당뇨병에 걸린 사람은 무조건 당질(탄수화물)을 제한하는 것만이 능사일까?
조회 88,250본문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