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자 쿠키 폐지' 구글 "신기술 '프라이버시 샌드박스' 사용하라"

입력
기사원문
한광범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제3자 쿠키 대신 개인정보 보호 강화한 새 기술 소개
디지털광고업계 "광고효과 급감…광고 쏠림 심화우려"
유저 귀찮게 하는 맞춤형 추적 광고 대부분 사라진다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온라인상에서 이용자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제3자(3rd party) 쿠키’를 브라우저 크롬에서 연내 차단하기로 한 구글이 대안 기술로 ‘프라이버시 샌드박스 API’를 내놓았다.

슈 히라사카 구글 전략파트너 개발 매니저는 지난 2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뉴스테크 이니셔티브 특별세미나에서 “제3자 파티 제공이 200일도 남지 않았다”며 “구글은 크롬과 안드로이드에서 사용자 개인정보 보호를 개선하는 새로운 기술 구축하고 있다”며 프라이버시 샌드박스 API(응용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소개했다.

구글. (사진=로이터)
쿠키는 인터넷을 이용할 때 웹사이트에 남는 흔적이다. 이중 제3자 쿠키는 말 그대로 제3자가 심은 쿠키다. 주로 추적형 광고에 사용된다. 소비자가 직접 쿠키 수집에 동의하지 않은 제3자가 쿠키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개인정보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구글은 크롬 등에서 올해 1월부터 이용자 1%를 대상으로 제3자 쿠키 제공을 중단했고 대상으로 연내 모든 사용자로 확대할 예정이다. 연내 제3자 쿠키가 전면 차단되는 것이다. 제3자 쿠키 차단으로 디지털 광고가 위축될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구글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침해하지 않고 광고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은 ‘프라이버시 샌드박스 API’를 도입하기 위해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슈 매니저는 “구글은 사이트를 넘나드는 것에 의존하지 않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프라이버시 샌드박스 기술을 이용하면 사이트 간 사용자 재식별을 막고 수집 가능한 데이터량을 제한하면서 기업들에게 지원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구글은 (‘프라이버시 샌드박스 API’를 통해) 온라인에서 효과적인 디지털광고 비즈니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려고 한다”며 “이는 개인정보보호와 공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슈 히라사카 구글 전략파트너 개발 매니저가 지난 2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특별세미나에서 크롬의 서드파트 중단과 관련해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구글의 프라이버시 샌드박스는 20개 이상으로 구성됐으며 사용성에 따라 종류가 다르다. 다만 프라이버시를 핵심으로 설계돼 가장 최신의 개인정보보호 강화 기술이 적용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큰 틀에선 효과적 광고효과 제공을 위해 고안된 △애즈 API가 있다. 여기엔 사용자 브라우징 기록을 바탕으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맞춤 잠재 고객이나 리마케팅 사례 지원을 위해 제안된 API 등이 있다. 또 광고주가 온라인 광고 실적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API도 있다.

슈 매니저는 “올해 하반기 규제 기관과의 협의 하에 실질적 제3자 쿠키 제공이 중단될 것”이라며 “이제 본격적인 대비를 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밝혔다.

디지털광고 업계는 제3자 쿠키 금지로 인터넷 사용자들에 대한 데이터 추적이 어려워지며 맞춤형 광고가 힘들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인터넷 사용자 입장에선 여러 사이트들을 따라다니는 추적형 광고를 보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신원수 디지털광고협회 부회장은 추적형 광고의 중단으로 실제 광고 효과도 크게 줄어들 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제3자 쿠키 허용 유무로 나눠 진행한 A/B 테스트에서 광고 효과의 차이가 50~60%에 달했다는 것이 디지털광고협회의 설명이다.

그는 “검색광고를 제외하면 4조2000억원 규모가 맞춤형 광고의 영향권”이라며 “앞으로는 퍼스트 쿠키(자체 웹사이트 쿠키)를 확보할 수 있는 네이버·카카오·쿠팡 등의 큰 회사를 제외하고 크게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광고주 입장에선 광고 효율이 내려가는 부분엔 예산을 줄이고, 효율이 올라가는 곳에만 예산을 늘리게 될 것”이라며 “광고 예산 편성 자체가 큰 회사 중심으로 할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