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보 인접 주민 10명 중 8명이 “보 활용 찬성”

입력
수정2023.05.16. 오후 4:59
기사원문
조유미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4대강 보(洑)와 인접한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 10명 중 8명 이상이 가뭄 등의 상황에서 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답한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환경부는 16일 이 같은 내용의 ‘4대강 보를 활용한 기후위기 대응 국민인식 조사’를 발표했다.

4대강 보(洑)와 인접한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 10명 중 8명 이상이 가뭄 등의 상황에서 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답한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가 16일 나왔다. 사진은 영산강 승촌보의 모습. /연합뉴스

설문조사는 지난달 18~23일 4대강 보가 있거나 보와 인접한 시·군 19세 이상 남녀 4000명(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 수계별 각 1000명)과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 보 소재·인접 지자체 응답자 86.8%가 가뭄 등 물 부족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보에 저장된 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찬성했다. 반대하는 응답자는 13%였다. 전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일반 응답자의 답변도 찬성이 77.4%, 반대가 13.6%로 비슷했다.

보 활용에 찬성한 보 소재·인접 지자체 응답자들은 주로 4대강 보를 가뭄 등의 위기 극복을 위한 생활·농업·공업 등 용수 공급을 목적(81.3%)으로 활용하면 좋겠다고 답했다. 홍수가 났을 때 보를 탄력적으로 운영해 침수 피해 방지 목적으로 활용(25.9%)하거나, 수량(水量)을 늘려 수질 개선의 목적으로 활용(13.3%)해야 한다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보 활용에 찬성하는 전국 일반 응답자의 답변 비율도 이와 같은 순서였다.

반면 4대강 보 활용이 필요하지 않다고 답변한 보 소재·인접 지자체와 전국 일반 응답자들은 ‘강은 막히지 않고 자연적으로 흘러야 한다고 생각해서’(각각 57.7%, 51.5%) 선택지를 가장 많이 골랐다. 일반 응답자의 답변에서는 ‘녹조 등으로 인해 수질과 환경이 오염돼서’(26.3%)가 두 번째로 많은데 반해 보 소재·인접 지자체 응답자들이 두 번째로 많이 고른 반대 이유는 수계별로 달랐다. 한강 지역 응답자는 ‘홍수 시 댐 방류량 조절로도 침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서’(15.5%), 낙동강·금강은 ‘보의 유지 관리 비용 대비 이수 시설로서 효과가 없을 것 같아서’(각 18.5%, 18.7%), 영산강은 ‘가뭄 시 비상 용수 활용에 효과가 없을 것 같아서’(24.5%)를 골랐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환경부가 지난달 발표한 ‘댐·보·하굿둑 연계운영 방안’ 선호도 문항도 포함됐다. 환경부는 지난달 4일 4대강 각 수계(水系)를 하나의 거대한 ‘물그릇’으로 보고 통합 관리하는 체제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댐·보·하굿둑 연계운영 방안에 대해 보 소재·인접 지자체 응답자의 86.2%가 찬성하고 12.3%가 반대했다. 전국 일반 응답자는 81.4%가 찬성하고 11.2%가 반대했다. 이 방안에 찬성하는 응답자 모두가 ‘가뭄·홍수 등 물 위기에 잘 활용할 수 있어서’(각각 62.4%, 61.9%)를 찬성 이유로 꼽았다. 반면 반대하는 응답자의 가장 큰 이유는 ‘물길이 막혀서 녹조가 발생할 것 같아서’(각각 44.8%, 50.9%)였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